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니우에

다른 표기 언어 Niue
요약 테이블
인구 1,935명 (2024년 추계)
수도 알로피
면적 260㎢ 세계면적순위
공식명칭 Niue
기후 사바나기후
민족 구성 니우에인(폴리네시아계)
언어 영어,니우에어
종교 기독교(67%)
화폐 US 달러 ($) 환율계산기
대륙 서남아시아태평양
국가 뉴질랜드
국가번호 683
GDP USD 20,400,000
전압 220V, 240V / 50Hz
도메인 .nu

요약 뉴질랜드와 자유연합 관계를 맺고 내부문제는 자치적으로 해결하는 의회제의 섬나라. 뉴질랜드 시민권을 갖고 있으며, 영국의 왕이 국가원수, 정부 지도자는 총리이다. 수도는 알로피. 국민의 약 93%가 폴리네시아인이다. 농업국가이며 수입에 비해 수출이 증가하지 않아 무역적자를 겪고 있다.

니우에(Niue), Flag of Niue

ⓒ wikipedia | Public Domain

오클랜드에서 동북쪽으로 2,156km, 통가의 바바우에서 동쪽으로 385km 떨어진 중남 태평양상에 있으며, 수도는 알로피이다.

지도
니우에

한국과의 관계

외교

한국은 2023년 니우에와 공식 외교 관계를 수립했고, 1971년 설립된 주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니우에의 영사 업무를 겸임하고 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2023년 기준 한국의 니우에 수입액은 1만 달러이다. 주요 수입품목은 종이 및 판지, 전기기기 및 부분품, 가구 및 침구 등이다.

자연환경

타원형에 가까운 융기된 산호섬으로, 둘레가 약 64km인 니우에는 뚜렷한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상층은 해발 63m인 고원상의 지표로, 중앙이 약간 함몰되어 있고 가장자리는 급경사를 이루며 계단식 대지인 하층으로 이어진다. 폭이 약 500m이고 해발 높이가 24~27m에 달하는 하층대지의 하단(下段)은 해발 9m 가량의 해안절벽에 이르기까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섬의 둘레는 산호로 둘러싸여 있다. 지반 융기운동으로 형성된 이 섬의 보다 오래된 상층에는 산호의 부식으로 형성된 적갈색의 토양이 얇게 덮여 있고, 산호석회암의 노두가 여기저기 드러나 있다.

강우량은 연평균 2,000㎜이나 연중 분포는 고르지 않아 태풍이 가끔 부는 12월부터 4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토양은 매우 침투성이 강하므로 적절한 물 공급을 위해서 섬의 맨 꼭대기로부터 물을 받아둘 필요가 있다. 주기적으로 가뭄이 닥치는데, 지하수가 흘러 생긴 수많은 동굴들은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전에는 항상 주요담수원으로 이용되었다. 월평균기온은 18~29℃의 분포를 보이는데 우기에 기온과 습도가 더 높다.

식생은 빈약하지만 약 75종의 식물로서 반얀나무, 타히티밤나무, 칼로필룸 인노필룸 등과 같은 큰 나무와 코코넛·팬팜나무·판다너스 등과 같은 작은 나무, 하이비스커스와 같은 관목, 이끼류, 덩굴식물 등이 있다. 은 이 지방 고유의 식물이다. 육상동물은 폴리네시아쥐(지금은 노르웨이쥐로 바뀜)와 도마뱀으로 한정되어 있고 조류로는 비둘기, 작은 잉꼬, 올빼미, 흰털발제비, 늪지대 암탉과 해조가 있다. 곤충은 그리 많지 않다. 1977년 굴착작업중 우라늄광이 발견되었다.

니우에

ⓒ Molly Brown NZ/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민

폴리네시아인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약 7%의 사모아인, 통가인, 소수의 유럽인이 있다. 주민은 통가어나 사모아어와 유사한 폴리네시아 방언을 사용하며 영어도 많이 쓴다. 인구의 압도적인 다수가 그리스도교도인데, 종파별로는 에칼레시아 니우에(니우에 교회)가 75%로 가장 많고, 모르몬교 10%, 로마 가톨릭 5%, 그밖에 안식교와 여호와증인이 약간 있다. 2024년 추계인구는 1,935명이며, 전체 인구의 44%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 Brothers Good/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제

니우에의 경제는 주로 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81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400만 달러이며, 1인당 국민총생산은 1,080달러이다. 토지는 3/5이 경작지인데 전통적으로 가족 소유지로 나뉘어 있으며, 외국인에게는 땅을 팔지 않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시계초의 열매, 코코넛, 포포나무, 라임 열매는 상품작물이다.

주식작물로는 타로토란·마·바나나·사탕수수·파파야·구아바·감귤류 등이 있다. 가축은 주로 돼지와 닭이며, 코코넛야자 아래서 방목되는 소는 육류와 우유를 공급한다. 양봉이 발달했으며 벌꿀의 수출이 증대되고 있다. 어업은 주로 가내 소비를 위해 행해진다. 토지의 약 23%가 삼림지대이며 국영제재소가 자체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

제조업은 곡물가공업을 중심으로 하며 라임 주스, 시계초의 열매, 코프라, 코코넛 크림, 벌꿀, 가죽제품, 수출용 수공예품 등이 포함된다. 내수용 가공, 건축, 보수산업도 있다. 니우에는 판다누스 나무로 엮은 바구니와 모자가 유명하다. 1975년 최초의 호텔이 준공된 이후 관광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81년 전력 생산량은 300만kW였는데, 이는 모두 석탄을 연료로 한 발전소에서 생산된 것이다.

노동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27%인데, 대부분 무역·제조가공업·정부기관에 종사하고 있다. 취업의 기회가 적어 니우에인들 중 일정수는 정기적으로 뉴질랜드로 이민간다. 화폐단위는 뉴질랜드달러($NZ)인데, 1뉴질랜드달러는 0.64달러(1997)이다.

총도로길이는 227km인데, 섬 순환도로를 포함해 53%가 포장되어 있다. 알로피가 주항(主港)이지만, 모래톱 사이의 통로가 주기적으로 넓어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거룻배밖에는 드나들 수 없을 만큼 좁아, 모래톱 밖에 정박하는 배와 부두 사이에서 거룻배들이 화물을 실어나르고 있다. 포누아쿨라 부근에 있는 하난 국제공항에 제트기는 기착할 수 없으나 서사모아의 폴리네시아 항공이 취항하고 있다.

수출(1981, 수입의 1/6)이 크게 증가하지 않아 무역적자가 늘어나고 있다. 뉴질랜드가 주요교역대상국으로 수출품의 95%, 수입품의 75%를 차지한다. 수입품은 주로 식료품·기계·수송장비·광물연료·제조업 제품들이다.

정치와 사회

1974년의 자치정부법에 따라 니우에인들은 뉴질랜드 시민권을 갖게 되었다. 즉 영국 왕이 국가 원수이며 정부 지도자는 총리인데, 총리는 성인들에 의한 일반투표로 선출되는 20명의 국회의원(지역구 의원 14명, 전국구 의원 6명)들이 선출한다. 총리는 국회의원 중에서 3명의 각료를 뽑아 내각을 구성한다. 지방정부는 14개 부락회의로 구성되는데, 그 의원은 3년 임기로 선출된다.

알로피에는 임산부 병동이 딸린 병원이 하나 있으며 가장 큰 3개 부락에는 진료소가 있다. 건강진단과 치과진료는 무료이며 뉴질랜드의 보조를 받는다. 니우에에서는 열대성의 중대한 질병들은 모두 퇴치되었으나 뎅그열 전염병만은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공립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은 5~14세로 무상이며 의무적이다. 고등교육과 사범교육은 뉴질랜드에서 받는다. 국영 라디오 선샤인 니우에는 니우에어와 영어로 방송하며 국영 주간신문사가 하나 있다.

니우에 사회는 조상에 따른 친족집단들로 조직되어 있으나 가장 전통적인 관습과 정치단체 결성은 금지되어 있다. 단 결혼 피로연은 여전히 열린다. 섬에 있는 동굴 중 어떤 동굴은 옛날부터 매장지로 쓰였다.

ⓒ tai11/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1974년 고고학 조사결과 니우에에는 900년경 사모아인들이 살았음이 밝혀졌다. 주민들의 관습을 보면 16세기경 이곳에 들어온 통가의 전투집단이 제2의 이주민임을 알 수 있다. 폴리네시아어의 2가지 방언인 모투어와 타피티어는 이런 견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사회계층은 복잡하지 않았으나 서로 다른 두 집단이 싸웠기 때문에 추장이 생겼다. 왕 제도는 1700년대초 니우에를 정복한 통가-니우에 혼혈족에 의해 도입되어 선거로 뽑았으며 실권은 추장들로 구성된 의회가 가졌다. 1774년 제임스 선장이 니우에에 상륙했는데, 니우에인들에게 적대를 당했기 때문에 이 섬을 '야만인의 섬'으로 명명했으며, 이 명칭 때문에 다른 대부분의 유럽인들도 니우에를 피하게 되었다. 1830년 런던 선교회 회원들이 도착했으나 역시 거절당했으며, 1846년 사모아 출신 중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니우에인을 데리고 오자 비로소 상륙 허락을 받았다(→ 선교). 1852년부터 주민들의 개종이 시작되었으며, 1854년까지는 성경이 니우에어로 번역되었다. 선교사들은 니우에인들을 설득해 가장 오래된 관습들을 버리게 했고 생활양식까지 바꾸었다. 니우에인들은 목재와 이엉으로 지붕을 얹고 옆은 터진 집들이 산만하게 늘어선 부락에 살았는데, 그리스도교로 개종하면서 교회를 중심으로 한 부락들로 이사해, 주위에 정원을 만들고 나뭇조각과 산호석고로 된 집들을 짓기 시작했다. 1863년 페루 노예상인들이 이 섬을 공격하여 130명의 남자들을 납치해갔으며 1868년 노예선 '부일리'가 공격해와 90명을 타이티로 납치해갔는데, 돌아온 사람은 거의 없었다. 1875년 왕정이 부활해 제3대 통치자가 죽은 1917년까지 존속했다.

1867년 니우에에서 조난당한 뒤 추장의 집에 장가들어 살고 있던 영국인 헨리 헤드는 왕을 설득해 빅토리아 여왕에게 영국의 보호령으로 삼아달라고 탄원하게 했으나 거절당한 후, 1900년에 이르러 영국은 니우에를 사모아의 일부로 합병했다. 1901년 뉴질랜드가 니우에를 쿡 제도의 일부로 합병했으나 1904년 분리되어 자체 행정관과 섬 의회를 갖게 되었다. 1960년 제1차 니우에 하원의원 선거가 있었고 1966년 자체 행정관의 권한이 일부 국회로 위임되었으며 니우에인 정부지도자가 들어섰다.

1974년 뉴질랜드와의 연합하에 자치정부를 갖는다는 새로운 헌법을 국민투표에 부쳤다. 그러한 새 헌법의 채택으로 뉴질랜드는 국방을 돌보고 외교문제를 관리하며 니우에인들에게 뉴질랜드 시민권을 주기로 합의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니우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