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세계에서 2번째로 큰 섬으로, 면적은 약 80만㎢이다. 북쪽은 태평양, 동쪽은 비스마르크 해·솔로몬 해, 남쪽은 산호해·토러스 해협, 남서쪽은 아라푸라 해와 경계를 이룬다. 행정상 인도네시아령인 서반부와 파푸아뉴기니령인 동반부로 나뉜다. 인구는 474만 6,267명(1990)이다.
파푸아뉴기니의 공용어는 영어이고, 그외 파푸파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파푸아뉴기니의 생산품은 커피·카카오·차·고무 등이다.
1884년경 남동쪽 1/4이 영국에 합병되었고, 독일이 북동부 1/4을 통치하게 되었다. 영국의 지배권은 1904년 오스트레일리아로 넘어갔으며, 제2차세계대전 후 서쪽 절반이 네덜란드령이 되었다. 1969년 이리안바라트가 인도네시아로 합병되었고, 파푸아뉴기니는 1975년 영연방의 일원으로 독립했다.
북쪽으로 태평양, 동쪽으로 비스마르크 해와 솔로몬 해, 남쪽으로 산호해와 토러스 해협, 남서쪽으로는 아라푸라 해와 경계를 이룬다.
면적은 약 80만㎢이다. 행정상 두 부분으로 나뉘어, 서반부는 인도네시아의 한 주(州)인 이리안자야(과거의 명칭은 이리안바라트)를 이루고, 동반부는 1975년에 입헌 독립국이 된 파푸아뉴기니의 주요부분을 이룬다. 그린란드 다음으로 큰 섬이며 길이가 약 2,400㎞(북서에서 남동으로)이고 가장 넓은 부분(남에서 북으로)의 폭이 650㎞이다. 4,000m 이상의 봉우리들이 연이어지는 산맥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뉴기니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이리안자야 서쪽에 있는 자야 산은 5,030m나 된다.
산꼭대기들은 얼음으로 덮여 있고, 곳곳에 사화산과 표고(標高)가 보통 1,490m가 넘는 길고 비옥한 고원 분지가 있다. 산맥 북쪽으로는 맘베라모·세피크·라무·마컴 강의 물이 흐르는 깊은 구조곡(構造谷)이 있다. 뉴기니 중북부에서는 일련의 단층산맥이 해안평야를 마주보며 달리는데, 그 높이는 대개 3,505m 미만이다. 이 섬의 북서쪽 끝부분에는 이곳에서 가장 저지대인 봄베라이 반도와 보다 산이 많은 도베라이 반도가 있다. 중앙산맥 남쪽으로는 플라이디굴 저지대가 펼쳐지며, 이 광대한 습지평야에는 플라이·비안·디굴·마피·풀라우·로렌츠 강을 포함한 수많은 강이 흐른다.
남동쪽으로는 오웬스탠리 산맥이 약 320㎞ 뻗으면서 넓은 반도를 이루어 북쪽의 솔로몬 해와 남쪽의 산호 해를 가르고 있다.
뉴기니의 기후는 열대성으로, 저지대의 연평균 최고 기온이 30~32℃이며, 고지대에서도 낮기온이 보통 연중 22℃를 넘는다. 해마다 약 7개월 동안 남동 무역풍이 불며 중앙 고원지대의 서향 능선지역에서는 연강수량이 7,620㎜를 넘는다. 그 때문에 플라이디굴 저지대와 고원 경계지대는 세계에서 가장 다습하며 사람이 가장 적게 사는 곳으로 알려졌다.
중앙 고원지대에는 연간 총 2,540~4,065㎜의 비가 내린다. 북서쪽 해안은 북서풍의 영향을 받으나, 남동쪽 해안에 있는 포트모르즈비는 연강수량이 1,016㎜밖에 안된다. 해안선을 따라가면 거의 어디에서나 홍수림의 습지를 볼 수 있으며, 보다 내륙쪽으로는 니파야자나무가 늘어서 있다. 남쪽 해안에 있는 삼각주와 강을 따라가면 넓은 사고야자숲 지대를 볼 수 있다. 해발 1,005m 이하의 저지는 대부분 저지우림(低地雨林)으로 덮여 있다.
해발 1,005m 이상의 중앙고지대에는 오크나무·너도밤나무·소나무가 많다. 대부분의 고원 분지에서는 고지 사람들의 비교적 집약적인 농업으로 인해 자연림들이 많이 없어졌다. 북쪽 해안과 중부고원에 사람이 비교적 많이 산다. 숲이 우거진 중부고원 북쪽 기슭과 사람이 드문드문 사는 맘베라모 및 세피크 강 유역의 목초지대에서는 화전농업이 행해지고 있다.
뉴기니에는 난초·무화과·자작나무와 유사한 나무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있다. 야생동물로는 나무오름 캥거루와 쿠스쿠스류와 같은 유대동물(有袋動物)들이 있다. 이곳 특유의 조류로는 크고 날개가 없는 화식조·극락조·앵무새가 있다. 뉴기니의 거의 전역은 파푸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거주하는데 이들은 최초의 정착민으로 주로 내륙과 남부지역에 살고 있다. 지방 '거물들'을 지도자로 삼고 서로 선물을 주고받는 것이 파푸아인들의 특징이다.
그들 사이에도 인종 구성이 복잡하여, 이들은 약 700가지의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북쪽 해안과 동쪽 해안 및 연안의 여러 섬에는 오스트로네시아어(멜라네시아어)를 사용하는 종족집단들이 있다. 또한 폴리네시아어, 중국어, 유럽의 각국어를 사용하는 집단들도 있다. 토크피신과 히리모투와 같은 몇 가지 혼합어도 널리 사용되며, 바하사 인도네시아어(인도네시아 공용어)와 영어(파푸아뉴기니 공용어)도 사용된다.
파푸아뉴기니 주민의 약 1/3이 로마 가톨릭 신자이고, 1/4 이상이 루터교 신자이지만 아직도 토속적인 종교와 예식을 많이 따르며 대부분이 정령설(精靈說)을 신봉한다.
뉴기니의 가장 중요한 광물자원은 구리이다. 이리안자야에 있는 푼카크자야에서 남서쪽으로 약 40㎞ 떨어져 있는 템바가푸라에는 세계 최대의 구리광산이 있다. 파푸아뉴기니의 국경 바로 안쪽, 플라이 강의 원류들 가운데 있는 모크테의 부근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구리광산이 개발되고 있다.
이리안자야의 도베라이 반도에서는 석유가 생산되며 파푸아뉴기니에 있는 세피크 강 분지와 플라이키코리 지역에서는 천연가스가 발견되었다. 뉴기니 주민 대부분은 자급농업을 하고 있다. 저지대에서는 마·타로토란·사고야자·바나나를 주식으로 하며, 고지대에서는 고구마를 주식으로 하고 돼지를 많이 사육한다. 파푸아뉴기니의 상품작물로는 커피·카카오·코프라·야자기름·차·고무가 있으며, 가다랭이류·새우류·목재를 수출하기도 한다. 국내 교통은 몇 개의 보조적인 해안도로·강배·항공로로 이루어지는데, 항공교통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뉴기니에는 일찍이 5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BC 약 7000년경 고원분지들에서는 광범위한 배수 및 관개를 이용한 정착농업이 행해졌다.
이 섬은 특히 서반부가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수세기 전에 이미 인도네시아와 아시아의 여행자들에게 알려졌다. 1511년 포르투갈인들이 유럽인으로는 최초로 이 섬을 발견했으나 1527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섬에 발을 들여놓았다. 네덜란드는 1828년 이 섬의 서반부를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1870년대에 영국의 존 모르즈비 선장이 남동부 해안을 측량했으며, 1884년경에는 뉴기니의 남동쪽 1/4이 영국에 합병되었다.
같은 해 독일의 뉴기니회사가 북동부 1/4에 대한 통치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뉴기니에 대한 영국의 지배권은 1904년 오스트레일리아로 넘어갔으며 지명도 파푸아 주로 바뀌었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독일령 뉴기니는 1921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주로서 오스트레일리아로 넘어갔다. 제2차 세계대전 때에는 섬 대부분 지역을 일본이 점령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가 파푸아 주와 뉴기니 위임통치령에 대한 통치권을 통합하여 파푸아뉴기니 주라고 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이리안바라트라고 부르던 그 섬의 서쪽 절반이 다시 네덜란드령이 되었다. 인도네시아는 1949년에 독립했으며 1969년에는 이리안바라트의 장래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그결과 이리안바라트는 인도네시아로 합병되어 이리안자야 주가 되었다. 파푸아뉴기니는 1975년에 영국 연방의 일원으로 독립했다. 인구:이리안자야 1,648,708(1990), 파푸아뉴기니 3,097,559(1990), 인접한 섬들을 포함한 섬 전체 4,746,267(199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오세아니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