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데마

다른 표기 언어 dema deity

요약 뉴기니 남부에 사는 마린드-아님족의 신화적 조상들을 가리키는 통칭.

뉴기니 남부는 '데마' 신 콤플렉스라고 부르는 신화의 중심지이다. 데마 신화에서의 결정적인 행위는 조상 부족이 데마 신을 살해한 것으로, 이 때문에 조상 세계는 인간세계로 바뀐다. 여러 고대 신화에서는 우주가 창조된 뒤에 인간이 창조된다. 인간과 인간의 가장 명백한 속성인 남성과 여성의 구별, 식량재배, 죽음은 무성생식을 하고 자연에서 저절로 자라난 식품을 먹으며 영원히 죽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이전의 존재방식과 완전히 단절됨을 의미한다.

신의 세계와 그에 뒤이은 인간세계의 단절은 인간이 신의 소유물을 도둑질했기 때문에(예를 들면 문화를 창시한 신화적 영웅이 불이나 곡식을 훔치는 것) 일어날 수도 있다. 이 도둑질을 사악한 행위로 여기면 인간의 상황은 처벌(아담과 이브의 타락 콤플렉스)로 생각된다. 인간을 영리한 도둑으로 규정하는 신화도 있는데, 이 입장에서 보면 인간의 상황과 문화는 기회를 포착한 것(프로메테우스 콤플렉스, 또는 트릭스터 콤플렉스)으로 여겨진다(→ 트릭스터 이야기). 조상이 어떤 조상이나 조상신을 살해한 행위와 결부시켜 신의 세계와 인간세계의 단절을 생각하는 견해도 있는데, 이러한 신화체계를 데마 신 콤플렉스라고 부른다(→ 트릭스터 이야기).

가장 많이 인용되는 데마 신 콤플렉스의 예는 덴마크 인류학자 아돌프 E. 옌센이 기록한 '세람' 섬(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의 하이누웰레 신화이다. 이 신화에 따르면, 아멘타라는 한 '데마'인이 멧돼지의 송곳니에 코코넛이 꽂혀 있는 것을 발견하고 꿈속에서 그 코코넛을 땅에 심으라는 가르침을 받았다. 6일 만에 코코넛에서 야자수가 자라나 꽃이 피었고, 아멘타는 자기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꽃에 떨어뜨렸다. 9일 뒤에 한 소녀가 꽃에서 자라나 3일 만에 성적으로 완전히 성숙한 여인이 되었다. 아멘타는 소녀에게 코코넛 가지라는 뜻을 지닌 하이누웰레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중요한 종교축제가 벌어지는 동안 하이누웰레는 춤추는 사람들 한가운데 서서 값진 물건들을 몸 밖으로 쏟아냈다. 이렇게 9일이 지난 뒤 데마인들은 춤터 한가운데에 구덩이를 파고 그 속에 하이누웰레를 던져 넣은 다음 흙을 덮고 그 위에서 춤을 추었다. 아멘타는 하이누웰레의 시체를 파내어 조각조각 잘라서 땅에 심었다. 이 시체 토막은 지금까지 보지 못한 식물을 낳았는데, 특히 감자는 그때부터 세람 사람의 주요식량이 되었다. 또다른 '데마' 여신은 데마인들에게 미로를 지나가도록 강요했다. 미로를 빠져나온 일부 데마인은 정상적인 인간이 되었고, 나머지는 동물이나 신령으로 바뀌었다(→ 덩이줄기).

'데마' 콤플렉스는 뉴기니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뒤로 감자를 재배하는 여러 종족에게서 나타나 감자 재배 문화의 특징임을 보여준다. 이 신화의 기본주제는 죽음과 시체 절단인데, 이것은 감자를 번식시키기 위해서 감자를 잘라 그 토막을 땅에 묻어야 한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데마 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