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2009년 9월 |
---|---|
소재지 | 전라북도 익산시 평등로 457 |
사이트 | https://www.fact.or.kr |
요약 농업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된 농촌진흥청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농업 과학 기술 분야 연구개발성과의 신속한 영농현장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9년 9월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으로는 기술사업화, 창업 성장, 종자 사업 등이 있다.
설립 목적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농업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를 농업경영체, 농식품 기업 등에 신속하게 확산·전파하여 농산업의 규모화와 산업화를 촉진하고 농업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연혁 및 변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2009년 9월 설립 등기를 마치고 재단 업무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 이후 2010년 1월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지정되어 기획재정부 소속이 되었고, 같은 해 7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농림수산 식품 분야 최초로 기술거래기관·기술평가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1년 한국국제시험기관 인정사무국으로부터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8개 분야를 추가로 획득했으며, 7월에는 조달청으로부터 조달 물품 전문검사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2년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친환경 유기농 자재 제품의 공시 및 품질인증기관으로 지정되어 농업기술을 실용화하는 데에 성공했다. 이후 2013년 4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기술 관리 신탁 기관으로 지정되었고, 같은 해 6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농촌 사회 공헌 인증 기관에 선정되었다. 2014년 1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료 검정 인정 기관으로 지정되었으며, 3월에는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기관으로 지정되었다.
2015년 1월 해양수산부로부터 해양환경측정분석능력인증기관으로 지정되어 활동 영역을 넓혔다. 이후 2016년 <녹색성장법 시행령 제26조 제3항>에 의거, 농식품 분야 배출권거래제도를 운영하기 시작했고, 2017년 3월 서울시와 세종시에 농식품벤처와 창업지원센터를 설치했다. 같은 해 7월 수원에서 익산으로 주 사무동을 이전했으며, 2018년 12월에는 스마트농업본부를 신설하여 좀 더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4월 부산, 경기 농식품벤처창업센터를 신설했다. 2020년 1월 회계관리센터를 신설했고, 2021년 3월 창업육성팀을 신설했다. 2022년 3월 한국농업기술진흥원으로 기관 명칭을 변경했다. 2024년 국내 최초로 국산 기술로 개발한 20kW급 소형 전기 트랙터를 공개했다. 비닐하우스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일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중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았다.
주요 사업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기술사업화, 벤처 창업, 종자 사업, 디지털농업, 농업환경분석 등을 진행하고 있다. 기술사업화는 농업인, 농산업체, 정부 기관, 대학 등의 지식재산권 창출을 지원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사업으로, 농식품 기술사업을 지원하고 기술시장의 동향을 제공한다. 벤처 창업은 농식품벤처 지원을 다각화하는 사업으로, 신성장동력이 되는 사업을 발굴한다. 종자 사업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에서 개발한 유망 신품종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종자의 품질을 관리하고 유통체계를 확립한다. 디지털농업은 첨단농업기술, 농업기계 검정제도 선진화 등을 통해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으로, 스마트팜 사업 등을 진행한다. 농업환경분석은 신뢰도 높은 분석 검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농업생산 기반을 분석하여 제공한다.
조직 구성 및 현황
재단에는 원장과 이사회, 감사가 있으며, 산하에 부원장, 홍보실, 윤리감사실이 있다. 부원장 산하에는 기획운영본부·기술사업본부·벤처창업본부·종자사업본부·스마트농업본부·농업환경분석본부가 있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전라북도 익산시 평동로 457에 소재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행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