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농업생산의 합리적 수행을 위해 여러 농업생산수단을 결합하는 방식.
작물의 생리적 성질, 생육환경을 구성하는 각 요소, 작목생육과 환경에 관한 지식이다. 농업기술에는 2가지 형태가 있다. 첫째, 무형기술은 생산방법을 뜻하는 것으로 노동양식과 노동조직형태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 유형기술은 물적 형태를 취하며, 물적 생산수단이라고도 부른다. 노동대상과 노동수단이 유형기술에 속한다. 쌀농사에서 쌀의 재배방법, 품앗이, 두레 등은 무형기술이며, 재배법을 실현시키는 데 필요한 품종·비료·농약·농기구·농기계·관개시설 등은 유형기술이다. 그리고 농업기술진보란 '무형적 기술의 유형화 과정'이다. 무형기술은 무형인 까닭에 자유롭게 발전한다. 이에 반해서 유형기술은 각각의 구체적 모습을 취하고 있지만 그 자체는 고정적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생산방법(새로운 무형기술)은 새로운 생산수단(새로운 유형기술)을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새로운 유형기술이 형성되면 기술이 진보한다.
농업생산은 공업생산과 달리 유기적인 생산과정임을 감안할 때 농업기술의 독자적 성격을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면 농업의 경우 경지라는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며 농업노동자는 그 속을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노동해야 하는 성질로 공업에서의 생산용구와 달리 농업노동자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용구는 가동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농작업이 작물의 생육에 따라 행해지고 날씨나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노동과정은 연속성과 규칙성을 가질 수 없고 자주 중단되며, 작업내용도 작물의 생육에 따라 달라진다.
더욱이 농업노동자는 해마다 상이한 작업을 작물생육 적기에 해야 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농업기술은 이와 같은 농업생산이 갖는 특수성을 전제로 성립되는 것이며, 공업과 같이 대규모 생산을 위한 기술을 이루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