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논리적 관계

다른 표기 언어 logical relation , 論理的關係

요약 말이나 사고의 합리성을 구성하는 요소들 사이의 관계.

이때 '합리성'이란 '이치에 맞음' 또는 '이해할 수 있음'이라는 뜻이다. 진술은 충분한 증거나 이유를 바탕으로 하지 않고도 완전히 이해될 수 있지만, 어떤 진술도 이해되지 않고서는 이치에 맞는 것이 될 수 없다.

대부분의 철학자들은 논리적 관계를 실재·사고·말 등의 내적 인과관계와 대조한다.

진술과 진술 또는 명제와 명제가 이치에 맞는다는 의미에서 서로 논리적 관계를 맺는 것은 한 진술 또는 명제의 참·거짓이 다른 진술이나 명제의 참·거짓에 의존하는 경우이다. '철수는 똑똑해서 인기가 있다'(A)와 '철수는 똑똑하다'(B)가 논리적 관계에 있는 까닭은 B가 거짓이면 A도 거짓이고 A가 참이면 B도 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모든 생물은 산소를 필요로 한다'(C)와 '어떤 생물도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D)는 진술은 하나가 참이면 다른 하나는 거짓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논리적 관계를 맺고 있다.

매우 중요한 논리적 관계들로는 함언(A와 B)·동치와 대당사각형에서의 반대(C와 D)·모순·소반대·소함언 등이 있다.

철학자들은 거의 언제나 그들의 관심 때문에 '이치에 맞음'을 제약하는 관계들보다는 사고와 담론의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훨씬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왔다. 사고와 담론의 요소들 사이의 관계는 담론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되려면, 다시 말해 담론이 특정 대상·사건·사태에 관한 것이 되려면 또 그런 것으로 인정받으려면 꼭 갖추어야 할 관계이다. 흔히 이런 논리적 관계는 명제와 명제 사이가 아니라 개념과 개념 사이에 성립한다.

몇몇 문법 규칙을 보면 이 점이 분명히 드러난다. 즉 '빠르게, 밝게, 를, 가……'처럼 부사와 조사만을 나열해서는 이해할 수 있는 주장이 나오지 않는다. 또 '신중함은 향기가 푸른 빛이다'도 똑같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이해할 수 없는 말이다. 그러나 많은 관계가 문법보다는 어떤 표현이나 그것도 경우에 따라서는 언어외적인 맥락과 관련이 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창밖을 보면서 "비가 오는군, 그런데 비가 오는지 안 오는지 알 수 없네"라고 말하거나, 자신은 자동차가 없다고 말해놓고서 자기 차를 팔고 싶다고 말하거나, 문이 닫혀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 그 문을 닫아달라고 부탁한다면 우리는 그가 말하고 행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알 수 없다.

논리적 관계에 대한 훨씬 더 일반적이면서도 모호한 견해는 논리적 관계가 논리학자만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특수 전문분야에 속한다는 것이다. 이런 논리적 관계의 예로는 이름과 대상의 관계, 함수와 독립변항의 관계(방정식과 x·y·a·b 등 변항의 관계), 메타언어(metalanguage:언어에 대한 말)와 대상언어의 관계 등이 있다. 그러나 하나의 이론 분과로서 논리학의 본성과 범위에 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이 3번째 의미의 논리적 관계는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리적'이라는 형용사는 20세기 영·미 철학에서 관심·불일치·혼란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논리적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