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베네딕토 수도회 회칙을 따르는 수도회들(베네딕토 수도회, 시토 수도회, 카말돌리 수도회, 트라피스트 수도회)과 그외 특정 수도회(프레몽트레 수도회, 라테란 참사수도회)의 최고 지위자에 대한 공식 직함.
이 명칭은 아람어 아브(ab:아버지) 또는 아바(aba:나의 아버지)에서 유래했는데 '70인역 성서'(그리스어로 번역된 〈구약성서〉)와 그리스어 〈신약성서〉에는 아빠스(abbas)로 씌어져 있다. 초대 그리스도교에서는 나이 들고 거룩한 이집트 수사들을 제자들이 아빠스(abbas)라고 불렀지만 수도원이 더욱 조직화되자 최상위자는 동방에서는 프로에스토스(proestos:통치하는 사람), 서방에서는 같은 의미의 라틴말인 프라이포시투스(praepositus)라고 불렸다.
누르시아의 성 베네딕토(480경~547경)는 수도회 규정에 아빠스라는 단어를 다시 살렸고 가르침을 통한 영적인 아버지라는 초기 개념에다 로마 법에 따른 아버지의 권위인 파트리아 포테스타스(patria potestas) 개념을 더하였다. 이렇게 해서 대수도원장은 영적인 문제와 세속적인 문제 모두에서 수도원을 통치하는 완전한 권위를 지니게 되었다.
대수도원장은 수도원 총회에서 비밀투표로 선출된다. 최소한 나이 30세에 적자(嫡子)이고 서원(誓願)한 지 10년 이상 된 서품받은 사제여야 한다. 수도원장은 종신직으로 선출되나 영국성공회에서만은 예외적으로 8~12년이 임기이다. 선거는 교황청이나 다른 지정된 권위 있는 기관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 수도원이 속한 교구의 주교가 다른 2명의 대수도원장의 도움을 받아 대수도원장 강복(降福)을 한다. 대수도원장의 주요특권은 자신의 관할하에 입회식과 작은 예식들을 집행할 수 있고, 주교 예절에 따라 전례를 집행하며, 보통은 주교에게 주어지는 강복을 할 수 있고, 교회문장(敎會紋章)을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이다.
동방교회의 수도원제도에서 자율 수도원은 몇 명의 노수사에 의해 다스려지는데 그중 지도자를 대수도원장이라 부른다.→ 대수녀원장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