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한국 대구광역시 |
---|---|
설립 | 1961년 |
대륙 | 아시아 |
국가 | 한국 |
사이트 | https://www.airport.co.kr/daegu |
요약 대구 동구에 있는 국제공항. 전신은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로 1961년 설치됐다. 1994년 일본 후쿠오카 노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이 되었다. 2004년 경부고속전철이 개통되면서 이용률이 급감하여 위기를 겪었으나, 저가항공의 국제선 취항 등으로 이용률을 높였다. 티웨이 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의 허브 공항이다. 최초로 공항 호텔을 운영 중이다.
개요
한국 대구에 위치한 국제공항. 1961년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로 설치된 후 2002년 대구국제공항 개항지로 지정됐다. 부지 면적은 661만 7,283m2이며 활주로는 2개다. 여러 관광명소와 접근이 용이해 영남권 거점공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역사
1961년 4월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로 설치돼 대구-서울 간 노선이 운항됐다. 1990년 6월 한국공항공단 대구지사가 설립됐고, 2000년 6월 대구공항 예비활주로가 준공됐다. 2001년 대구공항 신청사가 개관했고, 2002년 3월 한국공항공사 대구지사로 변경돼 2002년 5월 대구국제공항 개항지로 지정됐다.
2002년 5월 화물청사가 준공됐으며, 2002~04년 예비활주로 착륙대를 확장했고, 항공유 급유시설이 설치됐다. 2002~06년에 주 활주로 및 지하차도가 설치됐다. 국내 공항 최초로 공항 호텔을 운영하며 숙박·회의장 등의 편의시설도 갖추고 있다. 2014년 3월 티웨이항공이 취항했다. 이후 제주항공, 에어부산이 취항하고 2020년 5월 진에어가 취항했다.
규모
부지면적은 661만 7,283m2이며 연간 14만 회의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 2개가 2,755m×45m, 2,743m×45m 규격으로 갖춰져 있다. 활주로는 K2 공군기지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계류장 면적은 4만 1,582m2이며 동시 주기 6대가 가능하다. 주차장은 2만 5,117m2로 주차능력은 1,097대다. 국내선 여객 터미널은 1만 1,985m2 면적에 연간 256만 명을 처리할 수 있으며, 화물 터미널은 844m2 면적으로 연간 1만 7,000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다. 국제선 여객 터미널은 면적 1만 4,731m2로 연간 114만 명을 처리할 수 있다.
대구국제공항은 경상·영천 등 대구광역시 인근지역은 30분 이내, 경주·안동·포항 등 경상북도 관광명소는 90분 이내로 접근이 가능해 영남권 거점공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종합무역 센터, 종합유통단지 등이 있어 경상남도 및 경상북도 무역과 물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현황
대구 주변의 경주권, 경북북부권 등 관광보고를 찾는 중국, 일본 관광객 유치의 최적지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성공적인 개최 후 동북아 중심공항으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8년 여객수송 400만 명을 돌파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