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자본주의의 생성과 함께 형성된 프롤레타리아 계급은 산업혁명의 개시와 함께 보다 열악한 생활과 비인간적인 상태로 전락하게 되었다. 게다가 노동자들의 단결행위는 법으로 금지되었다. 이같은 조치는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두려워한 지배계층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19세기 전반의 영국의 노동운동은 급진적인 사회변혁을 목표로 다소 과격한 성격을 띠었지만 노동자들은 지식인이나 정치가들의 지도를 따랐기 때문에 폭동이나 봉기같은 과격한 투쟁형태를 취하는 일은 극히 드물었다.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이 강력한 탓도 있었지만 노동자들도 그들 나름의 운동조직을 가지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러다이트 운동은 19세기초의 노동운동상황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며 R. 오웬에 의해 주도되었던 전국노동자연합대회(1834)는 노동시간의 단축과 함께 새로운 노동운동 질서를 목표로 하는 운동이었다. 또한 차티스트 운동은 노동자계급에 의한 최초의 대규모 정치적 운동이었다. 이 운동이 실패로 끝난 이후 노동운동의 흐름은 정치개혁운동으로부터 일상적인 노동조건의 개선운동으로 전환했다. 그리고 이 운동은 노동조합이 전개하는 가운데 전개되었다.
1824∼25년 단결금지법이 철폐되었고 1871년에는 최초의 노동조합법이 제정되었다. 이렇게 하여 노동조합은 오랜 운동의 결과 안정된 조직으로 정착되었다. 또한 20세기 초반에는 단체교섭에 의한 노동조건의 결정이 기본적 방식으로 확립되었고 노동당이 결성되어(1906) 의회에 노동자들의 대표가 진출했다.
이상과 같은 영국의 경우에 비해 프랑스와 독일은 노동운동의 발전이 아주 지지부진했다. 그러나 곧 이들 국가에서도 단체교섭과 협약제도가 널리 보급되었고 노동자 계급은 완전한 보통선거제를 획득했다. 유럽의 노동자 정당은 서서히 연립내각의 일익으로서 정권을 담당하기까지 되었다.
이에 따라 노동자 계급은 자본주의 사회의 소외된 집단이 아니라 그 사회를 이루는 구성분자가 되었다. 한편 미국에서는 뉴딜 정책이 실시되고 와그너 법(1935)이 제정되어 국가가 노동조합의 조직화를 촉진하고 구매력의 증대를 꾀하는 한편 재정, 금융정책을 통하여 불황으로부터 탈출하려고 시도했다. 미국의 대표적 노조로는 미국노동총연맹(AFL)과 미국산업별노동조합회의(CIO)가 있는데 이 둘은 1955년 연합하여 미국노동총연맹 산업별노동조합회의(AFL-CIO)가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후 노동조합의 세력과 권리는 한층 확대되었다. 단체교섭제와 사회보장이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요산업의 공유화와 노동자의 경영참여 등 새로운 제도가 실시되었다. 전후 위기가 극복되자 서구 선진공업국가에서 경제성장이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되었으나 완전고용상태가 지속되지는 않았다.
이에 따라 노동조합의 교섭력이 강대해져 임금상승이 가속화되었다. 그리고 풍요한 사회내에서 노동자의 생활의 질이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고 '노동의 인간화'가 주요 테마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노동 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