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고구려의 관직.
고구려 관제가 정비되면서 설치된 듯한데, 우리 기록에는 별로 전하는 것이 없고 중국의 사서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아 그 역할을 짐작할 수 있다.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수서〉를 인용해 태대형 등 고구려의 10여 관등을 소개하고 "내평·외평·오부욕살이 있다"고 했으며, 또 〈책부원구 冊府元龜〉를 인용해 "내평·외평이 있어 내외의 업무를 나누어 맡았다"고 했다. 설치되었다는 사실만을 전하고 있을 뿐, 어떤 일을 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후기 안정복이 쓴 〈동사강목〉에 내평을 헌관으로 분류한 것으로 보아, 중앙관료들을 규찰하는 관직으로 추측하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행정구역상의 구분으로 보아 수도를 내평, 외방을 외평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외평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고구려
고구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