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낚시의 역사

다른 표기 언어

원시 시대의 낚시

낚시의 역사는 낚시 도구의 발전 과정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간이 최초로 사용한 낚시 도구는 낚싯바늘의 원조격인 낚싯고리였다. 그것은 길이가 2.5cm 정도인 나뭇조각이나 뼈나 돌의 양끝을 바늘처럼 뾰족하게 깎아서 한쪽으로 치우치게 줄에 매단 것이었다. 거기에 미끼를 끼워 물에 던진 후 물고기가 미끼를 삼키는 순간 낚시꾼이 줄을 잡아당기면 고리가 물고기 목구멍에 걸려 물고기를 끌어당길 수 있었다.

금속을 사용하게 되었을 때, 낚싯바늘은 인류가 금속으로 만들어 사용한 최초의 도구 가운데 하나였다. 이 금속제 낚싯바늘을 동물성이나 식물성 재료로 만든 손 낚싯줄에 매달았는데, 이것은 배를 타고 낚시할 때만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이 낚싯줄을 초기의 낚싯대 형태인 막대기나 나뭇가지에 매달게 되면서 강둑이나 해안에서도 낚시를 할 수 있게 되었고, 물가에 자란 수초 너머까지 낚싯줄을 드리울 수도 있게 되었다.

낚시

바다낚시 도구, 해녀박물관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로마 시대

이후 수천 년 동안 낚싯대는 1m를 넘지 않았으나 4세기경 로마 시대 문헌에서 짧은 낚싯대를 여러 개 이은 긴 낚싯대에 관해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다. 아일리아누스는 그당시 마케도니아 사람이 인조미끼로 송어를 잡는 것에 대해 기록하면서, 인조미끼를 만드는 방법까지 자세히 설명했다. 그들이 사용한 낚싯대의 길이가 1.8m밖에 되지 않았고 낚싯줄의 길이도 같았으므로, 아마 미끼를 수면에 살짝 띄웠을 것으로 짐작된다.

스포츠 낚시의 시작

영국에서 스포츠 낚시의 역사는 윈킨 데 워드가 원래 사냥만 다루었던 〈세인트 올번스의 책(The Boke of St. Albans)〉 제2판을 간행하면서 그 책의 일부로 〈낚싯대를 사용한 낚시에 관하여(Treatyse of Fysshynge With an Angle)〉(1496)를 출판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책은 분명 14세기에 유럽에서 이미 발표된 전문 서적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낚싯대를 사용한 낚시에 관하여〉에서 다룬 인조미끼는 놀랄 만큼 근대적인데, 이 책에서 언급한 12가지 가운데 6가지는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이 당시의 낚싯대는 길이가 5.5~6.5m 정도이고, 한쪽 끝에 말총을 꼬아서 만든 낚싯줄을 매달았다.

새로운 낚시 도구의 발전

17세기 중엽 낚시는 처음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 아이작 월튼과 찰스 코튼이 유명한 〈완벽한 낚시꾼(The Compleat Angler)〉을 썼고, 로버트 베너블스 대령과 토머스 바커는 새로운 낚시도구와 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이 무렵 어떤 낚시꾼은 낚싯대 끝에 철사 고리를 매달아 긴 낚싯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게 했는데, 이것은 낚싯줄을 던지거나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지칠 때까지 이리저리 끌고 다니는 데 효과가 있었다. 바커는 1667년 23.5m 길이의 연어 낚싯줄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렇게 긴 낚싯줄을 사용하려면 그것을 감아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장치가 필요했을 것은 당연하며, 그 필요성이 릴을 발명하는 계기가 되었다.

좋은 낚싯줄을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재료를 실험해본 결과, 1667년 작가 새뮤얼 페피스가 언급했던 야잠사와 1676년에 로버트 베너블스가 말했던 윤이 나는 견직물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커다란 물고기가 낚싯바늘에 걸렸을 때 그 물고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작살이라고 하는 갈고리를 사용한 사실은 1667년 바커가 쓴 책에 기록되어 있다.

1650년대 찰스 커비는 낚싯바늘을 만드는 방법을 개량해서 끝이 갈라진 독특한 커비벤드를 발명했는데, 미늘이 있는 이 낚싯바늘은 지금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커비는 그의 동료와 함께 올드런던 다리 근처의 가게에서 낚싯바늘과 바늘을 만들어 팔았는데, 페스트가 퍼지고 1666년에 런던 대화재가 일어나자 뿔뿔이 흩어졌다가 1730년경 마침내 레드디치에 공장을 세웠다.

릴 낚시대의 출현

초보적인 형태의 릴은 낚시꾼의 엄지손가락에 끼우도록 되어 있는 금속고리와 나무실패로 되어 있었다. 1770년까지는 낚싯줄 유도장치와 릴이 달린 낚싯대가 널리 사용되었다. 최초의 릴은 낚싯대 밑에 부착한 톱니 달린 릴이었다. 이 릴의 손잡이를 한 바퀴 돌리면 실패가 여러 번 회전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것은 영국에서는 인기를 얻지 못했지만, 1800년대초 미국 켄터키 주에 사는 2명의 시계 제조공이 고안한 베이트캐스팅 릴의 원형이 되었다.

영국에서 가장 널리 쓰인 릴은 노팅엄 릴이라고 불렸는데, 이것은 옛날부터 레이스 제조로 유명한 도시인 노팅엄에서 레이스를 감기 위해 고안된, 나무로 만든 레이스 실패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 릴은 몸통이 넓고 톱니가 없으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서, 낚싯줄과 미끼가 물결을 따라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데 이상적이었고, 다양한 육식성 바다물고기에게 미끼를 던지는 데에도 적격이었다. 이 릴은 제물낚시용 릴의 설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노팅엄 릴에는 나무 대신 단단한 고무인 에보나이트나 금속이 사용되어, 더 쉽게 낚싯줄을 풀거나 감을 수 있었다. 그런데 낚싯줄이 풀리는 것보다 릴이 더 빨리 회전했기 때문에 실이 자주 엉키곤 했다. 이것을 영국에서는 '오버런'이라고 부르고, 미국에서는 '백래시'라고 불렀는데,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속도조절기가 고안되었다.

낚시대와 낚시줄의 발전

무거운 보통 나무 대신 남아메리카와 서인도제도에서 들여온 녹심목(綠心木)처럼 나뭇결이 곧고 단단하며 탄력있는 나무나 대나무가 쓰이기 시작하자, 낚싯대도 많이 개량되었다. 18세기말에 이르자, 여러 조각의 대나무를 아교로 붙여 대나무의 강도와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굵기를 크게 줄이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865~70년 사이에 3각형으로 길쭉하게 자른 대나무 6조각을 붙여 만든 정6각형의 낚싯대가 미국과 유럽에서 생산되었다.

1880년부터 낚시도구의 설계가 급속도로 발전했다. 말총 대신 산성 아마인유를 바른 비단실이 낚싯줄로 쓰이게 되었다. 이런 낚싯줄은 쉽게 던질 수 있었으며, 윤활유를 바르지 않으면 물 속 깊이 가라앉고 윤활유를 바르면 수면을 떠다녔다. 보통 낚시꾼이 이 낚싯줄을 사용하면 3배나 멀리 던질 수 있었고, 드라이플라이 낚시(물 위에 띄우는 털바늘낚시)와 웨트플라이 낚시(낚싯바늘을 물 속에 가라앉혀 낚는 제물낚시)도 할 수 있게 되었다.

릴 낚시대의 개량

1896년 미국 미시간 주 캘러머주에 사는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낚싯줄을 릴에 감을 때 자동으로 줄을 고르게 펴주는 레벨-와인드라는 장치를 고안했다. 1880년 영국 스코틀랜드의 맬로크사에서 실패 한쪽이 열려 있는 최초의 회전 릴을 제작했다. 낚싯줄을 던질 때는 릴이 90° 각도로 회전하여 낚싯대 유도장치와 일직선이 되기 때문에, 낚싯줄이 실패 끝에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었다. 낚싯줄을 되감을 때는 실패가 다시 90° 각도로 되돌아왔다.

이 릴은 주로 연어를 잡을 때 무거운 미끼를 던지는 데 사용되었으며 영국의 홀든 일링워스가 발명한 릴에 영향을 주었다. 그가 발명한 릴을 영국에서는 고정실패 릴이라고 불렀고, 미국에서는 스피닝 릴이라고 했는데, 이런 종류의 릴에서는 실패가 항상 낚싯대 위쪽을 향해 있으며 낚싯줄을 던질 때는 맬로크 릴처럼 쉽게 풀려나간다.

20세기 이후의 발전

20세기에 접어들자, 낚싯대는 더 짧아지고 가벼워졌지만 강도는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낚싯대를 만드는 재료는 대나무에서 유리섬유로 바뀌었다가 다시 탄소섬유로 바뀌었다. 1930년대부터 유럽에서 고정실패 릴이 쓰이기 시작했고, 제2차 세계대전 뒤에는 북아메리카를 비롯한 세계 전역에서 이 릴을 받아들여 던질 낚시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1930년대말에 개발된 나일론 낚싯줄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합성섬유를 꼬아서 만든 낚싯줄과 함께 널리 보급되었다. 제물낚시용 낚싯줄에 플라스틱을 입히자 윤활유를 바르지 않고도 물에 띄우거나 가라앉게 할 수 있었다. 플라스틱은 또한 던질낚시의 가짜 미끼로도 가장 많이 쓰이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스포츠 일반

스포츠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낚시의 역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