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세부터 1860년까지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 있던 왕국.
종종 시칠리아와 정치적으로 연합했다.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남부에는 원래 비잔틴 제국과 롬바르드족·이슬람교도들이 세력을 떨치고 있었으나, 12세기초 노르만인들이 그곳에 나라를 세웠다.
1130년 루지에로 2세는 노르만인들이 얻었던 땅을 모두 통일하고 시칠리아와 풀리아의 왕을 자칭했다. 처음에는 교황과 신성 로마 황제 둘다 이탈리아 남부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며 이 노르만 국가를 놓고 다툼을 벌였다. 12세기말에 들어와 이 왕국은 호엔슈타우펜 왕가 출신 신성 로마 황제들에게 넘어갔다(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은 1198~1250년 시칠리아 왕을 겸한 프리드리히 2세임). 이때 나폴리 왕국은 최고로 번영해 정치적으로는 유럽에서 중앙집권체제를 가장 잘 정비한 국가였으며, 경제적으로는 상업활동중심지이자 주요 곡물생산지였고, 문화적으로는 그리스와 아랍의 문물을 서유럽으로 퍼뜨리는 역할을 했다.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적자(嫡子) 가계가 끊기자 교황은 자신에게 반대하는 왕이 남부 이탈리아를 다스리게 될 것을 두려워해, 프랑스 왕 루이 9세의 형제인 앙주 가문의 샤를을 초청해 나폴리 왕위에 앉혔다(1266). 샤를은 수도를 시칠리아의 팔레르모에서 나폴리로 옮겼는데 이는 자신이 북부 이탈리아에서 구엘프(교황파)의 지도자였기 때문에 그곳을 중시하겠다는 정책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가혹한 통치와 과중한 세금 때문에 시칠리아 만종 학살이 일어났다(시칠리아 만종 학살). 그 결과 시칠리아는 본토의 왕국과 정치적으로 분리되었고 스페인의 아라곤 왕국이 시칠리아를 다스리게 되었으며 이 사건은 나폴리와 시칠리아 모두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거의 1세기 동안 이어진 앙주 가문과 아라곤 왕국의 투쟁에서 실제로 이긴 쪽은 귀족들이었다. 그들은 양쪽의 왕들에게서 계속 양보를 얻어내 권한을 확대했으며, 무정부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 봉건주의는 양쪽 왕국에 확고하게 뿌리를 내렸다.
나폴리 왕국은 로베르토(1309~43 재위) 치세에는 번영을 누리며 이탈리아 문제에서도 주도권을 쥐었으나, 14세기 중반~15세기에는 앙주 가문 안에서 왕위계승을 놓고 싸움이 벌어졌다. 결국 왕국은 1442년 시칠리아를 다스리던 아라곤 왕 알폰소 5세에게 넘어갔고, 1443년에 그는 자신을 '양시칠리아 왕국(시칠리아와 나폴리 왕국)의 왕'이라 불렀으며, 그의 아들과 손자인 페르디난도 1세와 페르디난도 2세도 이 칭호를 썼다.
15세기말에 이르러서도 나폴리 왕국은 여전히 이탈리아를 차지하려는 열강들의 분쟁에 휘말려 있었다. 프랑스 왕 샤를 8세가 1495년 잠깐 통치했고, 1504년 스페인으로 지배권이 넘어가 2세기 동안 스페인이 파견한 총독의 통치를 받았다. 스페인은 이곳에서 세금만 많이 걷었을 뿐 전혀 개발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나폴리 왕국 경제는 계속 침체했다. 과중한 세금에 분개한 하층 계급과 중간 계급은 1647년 7월 반란을 일으켰으나(마사니엘로의 반란), 귀족들과 스페인 정부는 힘을 합쳐 1648년 이를 진압했다.
스페인 왕위계승전쟁(1701~14) 결과 나폴리 왕국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로 넘어갔다(얼마 동안 피에몬테가 시칠리아를 다스렸음). 그러나 1734년 스페인의 돈 카를로스 데 보르본 대공(뒤에 카를로스 3세가 됨)에게 정복당한 뒤 나폴리와 시칠리아는 각각 독립 왕국이 되어 스페인의 부르봉 왕가 사람들의 지배를 받았다.
18세기에 들어와 부르봉 왕가 출신 왕들은 계몽주의적 전제정치를 내세워 국가를 근대화하기 위한 개혁을 지지했으나 이러한 개혁은 교회문제에서만 이루어졌다.
나폴레옹이 이탈리아를 지배하게 되자 나폴리 왕국은 파르테노페 공화국으로 개편되었고(1799), 1806년 다시 왕국으로 바뀌어 나폴레옹의 형제인 조제프의 통치를 받다가 1808년부터는 나폴레옹의 처남 조아생 뮈라의 지배를 받았다.
프랑스가 다스리는 동안 나폴리 왕국은 봉건주의를 철폐하고 프랑스와 같은 형태의 법전을 도입하는 등 근대적인 요소를 도입했다. 부르봉 왕가 출신 왕 페르디난도 4세(뒤에 양 시칠리아 왕 페르디난도 1세가 됨)는 2번이나 시칠리아로 도망쳐야 했는데, 그때마다 영국인들의 도움을 받았다.
1815년 왕정복고 뒤에는 양시칠리아 왕국이라는 공식 명칭을 갖고 유럽 보수국가들과 보조를 맞추었다.
왕국의 많은 사람들은 자유주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왕은 절대주의를 더욱더 고수했기 때문에 정치적 충돌을 피할 수 없었다. 1820년 반란이 일어나 국정이 위태롭게 되자 페르디난도 1세는 헌법 제정을 허락해야만 했다. 1848년 페르디난도 2세가 왕위에 있을 때 시칠리아는 독립운동을 벌였다. 왕국의 정치적·경제적 상황이 매우 열악했기 때문에 1860년 주세페 가리발디가 침입해 들어오자 나폴리 왕국은 쉽사리 무너졌고, 나폴리와 시칠리아는 같은 해 10월에 실시한 국민투표 때 북부 이탈리아와의 통합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