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나주향교대성전

다른 표기 언어 羅州鄕校大成殿 동의어 보물 제394호

요약 전라남도 나주시 교동 나주향교 안에 있는 조선 중기 목조건물.

보물 제394호. 나주향교는 1407년(태종 7) 성현들의 위패를 봉안·제향하고 지방민의 교육을 위해 세워진 관학으로, 현 건물은 17세기경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향교는 공자를 위시한 중국의 성현과 우리나라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하는 공간인 대성전과 교육공간인 명륜당으로 이루어진다.

나주향교는 외삼문에서 내삼문으로 이르는 공간을 지나면 전면에 대성전과 좌우의 동무·서무로 이루어진 향사공간(享祀空間)이 있다. 앞면 5칸, 옆면 4칸의 대성전은 가장 큰 규모의 대성전에 속한다. 전면에는 퇴를 만들어 향교의 전형적 형태를 따랐으며 의례시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3단의 장대석으로 기단을 만들고 주초를 놓아 배흘림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주심포(柱心包) 후기양식에 속하며 주심포계가 익공계로 바뀌어가는 과도기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실례이다.

지붕은 양고주(兩高柱) 위에 대들보[大樑]를 걸고 그위에 동자주형(童子柱形)의 대공(臺工)을 세워 종보[宗樑]를 받들고, 다시 종보 위에 파련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치고 있다. 기단 좌우에는 의례에 따라 동계·서계가 있으며, 지붕은 대성전에서는 드물게 팔작지붕이다. 대성전 뒤로는 강학공간(講學空間)인 명륜당과 유생들의 숙소인 동재·서재가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배치가 전묘후학(前廟後學)의 형태로 서울 문묘와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나주향교대성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