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670(문무왕 10) |
국적 | 신라, 한국 |
요약 7세기에 활동한 신라의 진골귀족.
660년(태종무열왕 7)에 나당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할 때 출전하였다. 그리고 661년에는 대아찬으로 장군이 되어 백제부흥군의 활동을 진압하기 위해 출전했으나 전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662년(문무왕 2)에 김유신·김인문 등과 같이 평양성을 공격하는 당군에게 군량을 공급하는 임무를 맡아 김인문과 자신의 아들 군승과 함께 소정방에게 전달했고, 군사 800명을 이끌고 바닷길로 돌아왔다.
668년 고구려 공격 때 대당총관이 되어 출전했다. 백제 고지에 대한 신라의 점령정책으로 나당전쟁이 시작되자, 신라는 한편으로는 당군과 싸우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신을 보내어 사과하는 양면정책을 구사했다. 그는 669년에 김인문·김흠순 등과 함께 당에 파견되었다가 혼자 억류되어 670년에 옥사하였다.
〈삼국사기〉 강수 열전에 나오는 대표적인 문장가 6인에 포함되어 있고, 〈삼국유사〉에는 불교를 독실하게 믿어 태종무열왕 때 그의 두 딸 화보·연보를 흥륜사의 사비로 희사한 사실이 전한다.→ 김유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