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김승학

다른 표기 언어 金承學 동의어 희산, 希山, 김탁, 金鐸, 우경, 愚敬
요약 테이블
출생 1881(고종 18)
사망 1964
국적 한국

요약 만주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한 대한독립단의 중심인물로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으며, 저서에 〈한국독립사〉가 있다.
1907년 정미조약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다가 체포되어 평리원 구치감에서 3개월 동안 복역했다. 1919년 류허현 싼위안바오에서 만주의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독립단의 재무부장이 되었다. 1920년에는 임정 직할의 광복군사령부 군정 겸 군기국장으로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했다. 1921년 상해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이 되었다. 1928년 지린에서 열린 정의·신민·참의부의 3부통일대표회의에 참의부대표로 참석하여 한국독립당과 군민의회를 조직했다. 돌아오는 길에 중일군경합동대에게 잡혀 5년 3개월 간 옥고를 치렀다. 해방 후 귀국하여 평북도민회장, 독립신문사 사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위원장,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등을 지냈다.

만주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한 대한독립단의 중심인물로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해방 후에는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본관은 백천. 자는 우경, 호는 희산. 김탁(金鐸)이라고도 한다. 향리에서 한학을 배운 뒤, 1905년(광무 9) 한성고등사범학교 본과를 졸업했다.

1907년(융희 1) 정미조약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다가 체포되어 평리원 구치감에서 3개월 동안 복역했다. 1911년 봉천강무당을 졸업했다. 1919년 류허현[柳河縣] 싼위안바오[三源堡]에서 만주의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독립단의 재무부장이 되었다. 8월 평북독판부와 대한독립단의 대표로 국내에 특파되어, 독립단의 지부를 건설하고 연통제를 조직했다.

1920년에는 임정 직할의 광복군사령부 군정 겸 군기국장으로 항일무장투쟁에 참여했다. 1921년 상해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이 되었다. 1925년 임시의정원 평안도대의원, 임정 학무부차장·학무총장대리, 1927년 임정 참의부 참의장을 지냈다. 1928년 지린[吉林]에서 열린 정의·신민·참의부의 3부통일대표회의에 참의부대표로 참석하여 한국독립당과 군민의회를 조직했다(→ 3부통합운동). 돌아오는 길에 중일군경합동대에게 잡혀 신의주·평양 등에서 옥고를 치렀다. 5년 3개월 복역 후 다시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해방 후 귀국하여 평북도민회장, 독립신문사 사장,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위원장,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등을 지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으며, 저서에 〈한국독립사〉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독립운동가

독립운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승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