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우만

다른 표기 언어 奇宇萬 동의어 회일, 송사
요약 테이블
출생 1846년(헌종 12), 전남 장성
사망 1916년
국적 한말, 한국

요약 한말의 의병장.

위정척사론에 입각하여 의병을 이끌었다. 본관은 행주. 자는 회일, 호는 송사. 정진의 손자이다.

호남의 거유였던 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문유로 추대되었다. 1881년(고종 18) 김평묵(金平默)과 함께 정부의 행정개혁을 주장하는 만인소를 올려 호남소수라 불렸다. 1894년 갑오농민전쟁 당시 유생들이 농민군에 가담한 것을 부끄럽게 여겼으며, 1895년 나주에 동학당 토평비를 세울 때 비문을 지었다. 을미사변에 이어 단발령이 내려지자 이를 반대하는 극렬한 상소를 올렸다.

1896년 2월 유인석(柳麟錫)의 격문이 이르자 3월에 광주향교에 들어가 거사를 의논했으며, 기삼연이 장성의 의병을 이끌고 합류하자 광주의 광산관을 본영으로 삼고 의병을 일으켰다. 그러나 고종이 신기선(申箕善) 등을 선유사로 보내어 해산할 것을 명하자 이에 응했다. 5월에 다시 기병했으나 일본군에게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908년 순천 조계산의 암자에서 재기를 노리던 중 고종의 강제퇴위 소식을 듣고 은둔했다. 저서로 〈송사집〉이 있다. 1980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기우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