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의 형태와 기능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어떤 단체나 군대, 관공서, 또는 개인을 상징하기 위해 천 등을 이용해서 만드는 표식의 다양한 형태와 의미, 용도.

유럽에서는 기의 종류가 형태나 목적에 따라 스탠더드·배너·가이든·페넌·스트리머 등으로 나뉜다.

그밖에도 대부분 보다 복잡한 형태로 만들어진 다양한 기들이 각각 어떤 개인이나 가족, 지방을 상징하고 있다. 주요유형이었던 스탠더드는 가장 규격이 큰 기로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세운다. 이 기는 주로 전투가 시작되기 전이나 포위기간 또는 식전(式典)행사나 마상시합에서 주요인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군주를 상징하는 경우 그가 실제로 기거하고 있는 왕궁·성·의식장소·천막 또는 배를 표시했다.

처음에는 대귀족들도 스탠더드를 개인적 표식으로 사용했다. 이것의 본래 모양은 길고 플라이를 따라 점점 가늘어져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한편, 배너는 배너릿 기사작위 이상의 왕족이나 귀족전사만이 지닐 수 있었다. 배너는 정4각형 또는 직4각형이었으며 스탠더드와는 달리 가지고 다닐 수 있었다. 배너에도 개인이나 가문을 나타내는 문장(紋章)이 새로 그려졌다.

프랑스어 'guyd-homme'에서 유래한 기동(guidon)은 스탠더드와 비슷하지만 플라이가 둥글거나 2개의 둥근 제비꼬리 모양이었다. 이것은 기사 작위밖에 받지 못해 배너를 사용할 자격이 없는 지도자가 전쟁에서 가지고 다녔다. 한편, 페넌은 3각형의 조그만 기로서 각 기사들이 창에 달고 다녔다.

이 기를 사용한 목적의 하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그것은 트럭의 꼬리판보다 길게 늘어지는 기둥 또는 장대 같은 화물을 트럭으로 운반할 때 그 끝에 빨간색 기를 매다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그밖에 적을 위협하거나 지위를 표시하는 기능도 했다. 지금 펜던트나 페넌트로 알려져 있는 스트리머는 길고 끝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태이다.

길이는 18~55m, 호이스트의 폭은 약 7m이고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길이가 길어서 거의 바다에서만 쓰였는데 15세기에는 군함 전투장루(檣樓)의 기둥에 달았으며 이후에는 활대 끝이나 중간돛대에 달았다. 결국 이것은 군함과 상선을 구별하는 데 쓰이면서 좀더 세부적으로는 임무수행중인 군함과 항구에 정박중인 군함을 구별하는 역할도 했다.

영국해군의 흰색 페넌트는 호이스트 부근에 성 조지 십자가가 그려져 있으며 군함이 임무수행중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선장이 명령을 내릴 때 게양된다.

세월이 흐르면서 여러 가지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기가 만들어졌다. 지난날 검은색 기는 해적의 상징이었으며 오늘날 전세계에 걸쳐 노란색 기는 전염병의 신호로 쓰인다. 배 안에 황열병이나 콜레라 또는 기타 전염병이 퍼져 있는 것을 알려야 할 경우 노란 기를 게양하는데, 이것은 검역을 마칠 때까지 계속 달아두며 검역소에도 역시 노란 기를 게양한다.

흰색 기는 보편적으로 휴전을 뜻한다.

바다에서 기를 거두거나 낮추면 항복을 의미한다. 한편, 어떤 나라의 기가 다른 나라의 기보다 위에 있으면 위에 있는 나라가 승리한 것을 나타내므로 평화시에 한 나라의 기를 다른 우호적인 나라의 기 위에 게양한다는 것은 모욕이다. 각 국기는 그 나라의 깃대에 게양해야 하며 명예와 존경을 표시할 때는 기를 내렸다가 다시 올린다.

바다에서 돛대 끝에 달려 있는 기를 천천히 내렸다가 빠르게 제자리로 올리는 행위는 배들이 서로 경의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군대나 국가원수가 다른 사열관 앞에서 행진할 때는 부대기를 낮추어서 경의를 표시한다. 반기(半旗)는 보편적으로 애도의 상징이다. 또 배가 조난당한 것을 표시할 때는 함기의 위아래를 바꾸어 게양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의 형태와 기능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