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의 기원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어떤 단체나 군대, 관공서, 또는 개인을 상징하기 위해 천 등을 이용해서 만드는 표식을 처음 사용하던 시기와 동기.

기라고 할 만한 것이 처음 등장한 곳은 고대인도나 중국이었음이 확실하다.

중국에서는 BC 1122년경 주(周)의 창시자가 기를 앞세우고 다녔다고 하며, AD 660년 어떤 제후가 왕 앞에서 기를 낮추지 않아 벌을 받았다고도 한다. 중국 기에는 주작(朱雀)·백호(白虎)·청룡(靑龍) 등의 그림이 그려져 있었으며 전차로 운반해 점령한 도시의 성벽에 꽂았다. 왕실기에는 왕권의 모든 속성이 부여되어 통치자 자신과 동일시되었으므로 왕에게 하는 것과 똑같은 경의를 표하면서 다루어야 했다.

따라서 기수와 접촉하는 것만으로도 죄가 되었다. 기를 내린다는 것은 항복을 뜻했기 때문에 보통 기는 장군에게 맡겨졌으며, 왕이 기와 자신을 동시에 드러내는 일은 거의 드물었다.

고대 인도에서도 기는 똑같이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전차나 코끼리로 운반되었다. 전쟁에서는 기가 첫번째 공격목표였고, 기가 쓰러지면 패배나 혼란을 뜻했다. 인도의 기는 주홍색 또는 초록색의 3각형 모양에 금으로 수를 놓고 금술을 달아 만들었다.

고대 이집트와 아시리아에서 쓰이던 스탠더드에서 인도와 중국 기의 기원을 찾는다면, 기둥에 매달았던 장식으로부터 기가 발전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스탠더드란 원래 금속으로 동물형상 등을 만들어 기둥 꼭대기에 달았던 단단한 물체를 뜻한다. 실제로 인도의 깃대 가운데에서 기 자체에 그려진 도안과 유사한 형상의 조각을 얹은 것이 발견되는 걸 보면 그러한 추측이 가능하다.

한편 무굴 제국에서는 기 이외에도 야크의 꼬리나 예식용 우산 같은 다른 물건을 보다 특별한 왕의 표식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인도에서도 역시 중국처럼 기를 신호용으로도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1542년에 이미 휴전의 표시로 백기가 쓰인 예가 있다. 인도와 중국에서 사용되던 기는 곧 미안마·타이·동남아시아 등지로 전파되었다. 흰색이나 노란색 또는 검은색 비단 바탕에 금실로 코끼리·황소·쇠물닭 등을 수놓은 기가 등장했다. 전쟁에 대한 타이의 기록 가운데는 행진이 시작되면서 기가 펄럭이는 인상을 묘사한 것이 남아 있다.

기를 유럽에 전파한 것은 사라센족(族)이라고 전해진다.

그러나 우상과 동일시할 수 있는 어떠한 상징의 사용도 금지하고 있는 이슬람교의 교리는 기의 도안에도 영향을 미쳤다. 초기 이슬람 역사에 자주 언급된 기의 형태는 인도의 기를 모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후에는 형태가 아주 단순해져 검은색이나 흰색, 빨간색 같은 단색으로 되었다. 마호메트 군대의 깃발 색깔로 추측되는 검은색은 복수의 색이다.

AD 746년(AH 129) 아바스 왕조는 검은색 기를 썼으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마이야 왕조는 흰색 기를, 하와리지 왕조는 빨간색 기를 채택했다.

그리고 파티마 왕조의 색이었던 초록색은 마침내 이슬람의 색이 되었다. 1250년경 오스만 투르크는 BC 9세기경, 또는 어쩌면 그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아시리아에서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지던 초승달 표시를 거의 그 모습대로 재현해서 사용했다(→ 초승달 기장). 그때부터 초승달은 주위에 별을 그려넣거나 혹은 독자적으로 공식적인 이슬람의 상징이 되었다.

유럽에서 처음으로 '국기'를 채용한 것은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였다.

당시의 많은 지배자들은 자신들의 수호성인을 상징하는 기를 이용해 영토를 나타냈다. 그 예가 13세기 영국에서 쓰이던 성 조지의 십자가이다. 중세 말기에 이르자 기는 나라·왕·단체·도시·길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길드의 기에는 뚜렷한 그림이 있었는데, 예를 들어 3개의 흰 초가 그려진 검은색 기는 프랑스 베외의 양초 제조업자들을 나타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의 기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