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금속으로 만든 활자의 총칭. 재료에 따라 놋쇠활자·구리활자·납활자·쇠활자·아연활자 등으로 나뉘는데, 순수한 금속만으로 활자를 만들면 오래 견디지 못하므로 주로 합금으로 만든다. 금속활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려시대 기원설과 조선시대 기원설로 나누어지는데, 그중 조선시대인 1403년 기원설을 따른다고 해도 독일의 구텐베르크가 활자를 주조했던 때보다 40여 년이나 앞선다. 금속활자장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되어 있다.
금속으로 만든 활자의 총칭. 재료에 따라 놋쇠활자[靑銅活字]·구리활자[銅活字]·납활자[鉛活字]·쇠활자(鐵活字]·아연활자(亞鉛活字)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합금이 아닌 순수한 금속만으로 활자를 만들어 쓰면 녹이 자주 나거나 오래 견디지 못하므로 오래 견딜 수 있도록 합금으로 만든다. 활자를 주조할 때에 글자 획을 제대로 내게 하거나 끓여서 녹힌 다음 식혀서 뒷 마무리를 제대로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도 합금으로 활자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금속활자라 하면 어느 성분이 많은가에 따라 명칭이 정하여지지만, 주성분 이외의 다른 금속의 성분도 어느 정도는 섞여 있다. 아래 표는 활자의 금속성분을 보인 것이다.
금속활자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쓰여졌다는 것은 사실이다. 금속활자의 기원에 대해서는 고려시대 기원설과 조선시대 기원설로 크게 나누어진다.
고려시대 기원설은 문종(1047~83 재위) 때, 숙종 7년(1102), 고종 6~16년(1219~29)의 3가지 설로 나눌 수 있고, 조선시대 기원설은 1403년(태종 3)을 주장하는 안춘근(安春根)의 설이 있다. 이중 1403년의 설을 따른다고 해도 독일의 J. 구텐베르크가 마인츠에서 1435~45년 사이에 활자를 주조했던 때보다도 40여 년이나 앞서는 일이다. 더구나 고려 때의 활자 실물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개성박물관에 1과씩 남아 있어, 앞서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1996년 금속활자장을 중요무형문화재(지금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로 지정하여 조선시대 이후 급속히 쇠퇴한 금속활자 인쇄술의 복원과 연구에 힘쓰고 있으며 기능보유자로 오국진(2008 해제)과 임인호가 있다.
연도 | 활자이름 |
1403 | 계미자(癸未字) |
1420 | 경자자(庚子字) |
1434 | 갑인자(甲寅字) |
1438 | 강목대자(綱目大字), 일명 병진자(丙辰字) |
1448 | 정운대자(正韻大字) |
1450 | 경오자(庚午字) |
1455 | 을해자(乙亥字) |
1457 | 금강경정문대자(金剛經正文大字), 일명 정축자(丁丑字) |
1457 | 어제시대자(御製詩大字) |
1457 | 교식자(交食字), 일명 무인자(戊寅字) |
1461 | 훈사대자(訓辭大字) |
1465 | 을유자(乙酉字) |
1484 | 갑진자(甲辰字) |
1493 | 계축자(癸丑字) |
1516 | 병자자(丙子字) |
1516 | 개주갑진자(改鑄甲辰字) |
1573 | 계유자(癸酉字) |
1580 | 경진자(庚辰字) |
1618 | 무오자(戊午字) |
1668 | 무신자(戊申字) |
1673경 | 낙동계활자(洛東契活字) |
1677 | 현종실록자(顯宗實錄字) |
1679 | 한구자(韓構字) |
1684경 | 인서체철자(印書體鐵字) |
1693 | 원종자(元宗字) |
1749 | 홍계희자(洪啓禧字) |
1772 | 임진자(壬辰字) |
1777 | 정유자(丁酉字) |
1782 | 재주한구자(再鑄韓構字) |
1796 | 정리자(整理字) |
1798 | 희현당철자(希顯堂鐵字) |
1815 | 돈암자(敦岩字) |
1837 | 교서관필서체철자(校書館筆書體鐵字) |
1851 | 헌종실록자(憲宗實錄字) |
1858 | 재주정리자(再鑄整理字) |
1869 | 보광사인서체자(寶光社印書體字) |
1884 | 광인사활자(廣印社活字) |
연도 | 활자이름 | 구리 | 아연 | 주석 | 납 | 철 | 나머지 | 분석날짜 |
13세기 | 고려활자 | 50.9 | 0.7 | 28.5 | 10.2 | 2.2 | 1975.3 | |
1434 | 갑인자 | (84.0) | (3.0) | (7.0) | (5.0) | (0.1) | 계유자에서 추정 | |
1455 | 강희안자 | 79.45 | 2.30 | 13.20 | 1.66 | 1.88 | 1931.8 | |
1573 | 갑인자Ⅸ | 84.0 | 1.0 | 7.0 | 7.0 | 0.1 | 0.1 | 1956.3 |
1677 | 현종실록자 | 64.7 | 3.1 | 18.4 | 4.4 | 2.1 | 1973.12.11 | |
1677 | 한구자Ⅰ | 79.8 | 1.4 | 10.6 | 2.1 | 2.0 | 1973.12.11 | |
87.1 | 2.5 | 4.0 | 4.43 | 1.0 | 1961.6 | |||
1777 | 갑인자Ⅶ | 80.5 | 1.2 | 9.8 | 3.6 | 1.9 | 1973.12.11 | |
78.2 | 2.6 | 12.1 | 3.8 | 1.5 | 1973.12.11 | |||
73.04 | 2.3 | 6.32 | 17.50 | 0.8 | 1961.6 | |||
1795 | 정리자Ⅰ | 85.5 | 6.3 | 6.1 | 1.1 | 1.3 | 1973.12.11 | |
70.1 | 10.0 | 4.7 | 14.01 | 0.9 | 1961.6 | |||
1684 | 운각철자Ⅰ | 10.56 | 81.24 | 1973.12.11 | ||||
완영철자Ⅰ | 10.56 | 81.24 | 1975.4 | |||||
자료 : 손보기, 〈금속활자와 인쇄술〉. p.135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