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귀면문

다른 표기 언어 鬼面紋

요약 건축이나 고분 및 주술적인 도구에 벽사의 의미로 새겨넣은 귀신이나 도깨비의 문양.

그 기원은 중국 주대의 청동기에 시문된 도철문(고대 중국 문양의 일종)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귀면문이라는 개념이 성립된 시기는 한대(漢代)이며, 남북조시대에 정형화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주로 얼굴 부분을 표현했으나 때로는 몸의 형상을 부분적·전체적으로 드러낸 경우도 있다.

길게 찢어진 입과 날카로운 송곳니, 이마 위에 돋은 뿔, 부릅뜬 두 눈을 한 얼굴형상은 온갖 악귀·잡귀의 침범을 막는 위엄과 힘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얼굴과 함께 사지를 표현할 때는 자연스럽게 몸 전체를 드러내며, 전지만 표현할 때는 몸의 일부만을 드러내거나 얼굴의 좌우에 발을 붙여서 몸을 생략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와전이나 고분벽화, 포수 및 각종 공예품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공예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귀면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