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귀면와

다른 표기 언어 鬼面瓦

요약 귀면문이 장식된 기와.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와 신라의 유적지에서 약간 출토되었으나 통일신라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녹유귀면와는 대표적인 예로 원두방형에 거친 수염과 머리카락, 부릅뜬 눈, 들창코, 길게 찢어진 입과 내밀은 혀, 날카롭게 뻗친 송곳니, 뿔을 조각했으며 사지까지 표현되어 있다.

양 옆과 윗면의 주연대에는 인동무늬·당초무늬·연주무늬[連珠紋] 등을 조각했다.

귀면의 조각은 깊이 새겨서 햇빛을 받은 면과 그늘진 면의 농담 차이가 뚜렷해 인상이 강렬하다. 용도에 따라 팔작지붕의 마루 끝에 부착하는 마루용과 귀마루의 끝에 잇대어 댄 사각형의 사래용으로 구분된다. 부착방법에 따라 귀면의 양 눈썹 사이에 못을 박아 고정시킬 수 있는 못구멍이 뚫려 있는 것과 뒷면에 C자형의 고리가 달려 있어 철삿줄로 동여맬 수 있는 것 등의 2가지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축양식

건축양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귀면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