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권영길

다른 표기 언어 權永吉
요약 테이블
출생 1941. 11. 5, 일본 혼슈[本州] 야마구치 현[山口縣]
국적 한국

요약 권영길은 언론인 출신의 노동운동 지도자로 활동했으며 1997년 진보정당 ‘국민승리21’ 대표를 맡으며 정치에 입문했다. 제15, 16, 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일본에서 밀항자의 아들로 태어나 8·15해방 직후 부모를 따라 경상남도 산청에 정착했다.
1988년 서울신문사 노동조합 건설에 참가하고 언론노동조합연맹의 초대위원장에 선출되었다. 이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초대위원장을 역임하면서 노동계의 중심인물로 떠올랐다. '국민승리21' 대표, 민주노동당 대표를 역임하면서 진보 정치지도자로 부상했다. 제15대(1997)와 제16대(2002)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7년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로 제18대 대통령선거에 출마했으나 다시 낙선했다. 2008년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2013년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권영길(權永吉)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KingOfHiking/wikipedia | CC BY 2.0

일본에서 밀항자의 아들로 태어나 8·15해방 직후 부모를 따라 경상남도 산청에 정착했다. 6·25전쟁과 더불어 빨치산 활동을 하던 아버지가 1954년 군경의 대대적인 토벌 작전으로 총살당한 사건은 그의 성장기에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경남고등학교를 거쳐 1961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에 진학해 잠사학을 공부하면서 반정부 비밀 서클 활동을 했으며, 잠시 〈대한일보〉 기자(1967)로 활동한 뒤 1971년 정부 기관지인 〈서울신문〉의 기자로 일했다.

그는 1988년초 서울신문사 노동조합 건설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말 41개 언론노동조합(조합원 1만 3,000여 명)을 포괄하는 언론노동조합연맹(언론노련)의 초대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이어 언론노련 제2~3대 위원장(1988~94),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초대 위원장(1995~97)을 역임하면서 한국 노동운동의 중심 인물로 떠올랐다.

또한 진보 정당 '국민승리21' 대표(1997~98), 민주노동당 초대~제2대 대표(2000~)를 역임하면서 진보적 정치 지도자로 부상했다. 제15대 대통령 선거(1997)에 국민승리21 후보로 출마해 낙선했으며,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2000)에 경상남도 창원에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어 2002년 12월 제16대 대통령 선거에 민주노동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다시 낙선했다.

그러나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2004)에서 창원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재출마하여 당선했다. 또한 당대표로서 이끌었던 민주노동당도 비례대표를 포함해 10석을 얻어 진보정당의 원내진출이라는 커다란 성과를 얻어냈다. 당선 이후 민주노동당의 당직·공직(의원직) 분리 방침에 따라 대표에서 사퇴했다.

민주노동당은 2004년 총선거에서 원내진출이라는 커다란 성과를 얻어내기는 했지만 이후 지지율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2007년 그는 혁신과 변화를 앞세운 심상정, 노회찬 후보를 누르고 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로 다시 선출되었다. 하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3%의 지지율로 낙선했는데, 이는 2002년 대통령 선거 때의 지지율보다 떨어진 것이었다. 그는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경상남도 창원시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권영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