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북서부 금강 하구부에 있는 군산시의 유물·유적 현황과 관광 자원 현황.
군산시에는 국가지정문화재(보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8, 무형문화재 3, 기념물 2, 민속자료 1), 문화재자료 4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돌칼·토기 등이 출토된 금강하구 내흥동의 사옥조개무지(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45호) 외에 선유도·무녀도 등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가 있으며, 산성으로는 노인성(老人城)·어래산성(御來山城)·관원산성(官元山城)·고진성(古鎭城) 등이 있다. 고려시대부터 조운의 중심지로 안흥창(安興倉)·진성창(鎭城倉)의 조세미를 서울의 경창으로 운반하는 중요한 요충지로, 이를 약탈하려는 왜적선 500여 척을 최무선이 격퇴시킨 진포대첩지가 있다.
대표적인 사찰로는 당나라 장수인 소정방이 창건했다는 천방사(千房寺)를 비롯하여 은적사(隱寂寺)·동국사(東國寺)·흥천사(興天寺) 등이 있으며, 불교문화재로는 개정면의 옥구발산리석등(沃溝鉢山里石燈:보물 제234호)과 발산리5층석탑(鉢山里五層石塔:보물 제276호)이 대표적이다. 이중 옥구발산리석등은 사방에 천왕상이 새겨져 있고, 그 받침돌은 팔각형으로 아래에 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밖에 불지사대웅전(佛智寺大雄殿: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117호)·상주사대웅전(上柱寺大雄殿: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37호)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김유신의 사당인 천방산의 설림사(雪林祠)를 비롯해 옥구향교대성전(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96호)·임피향교대성전(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제95호) 등이 남아 있다. 그밖에도 조선조 12대 열성의 친필을 담은 열성어필첩(列聖御筆帖)이 있다.
군산시의 주요관광자원으로는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은파유원지와 신라 진평왕 때 지은 것으로 알려진 미룡동의 은적사가 있다.
은파유원지는 은파호를 이용한 수영장·보트장 등 오락시설을 갖추고 있어 시민의 휴식처를 제공해준다. 또한 월명공원은 군산항과 함께 서해의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으며, 은적사에 이르는 숲속길도 유명한 곳이다.
관광지로는 군산항에서 여객선으로 2시간쯤 걸리는 곳으로 칠선바다의 중심에 있으며 해안경관이 일품인 고군산군도와 군산시의 상징인 오성산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선유도는 아름다운 경치와 고운 모래사장으로 유명하다. 금강 하류 유원지개발계획의 수립과 서해안고속도로의 건설로 교통이 편리해짐에 따라, 앞으로 부여의 백제유적지와 연계되는 관광지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군산시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