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국제지구물리관측년

다른 표기 언어 International Geophysical Year , 國際地球物理觀測年 동의어 IGY

요약 1957년 7월~1959년 12월에 행해진 세계적인 지구물리학 연구에 관한 계획.

지구와 지구환경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구물리학의 11개 연구분야인 오로라, 대기광, 우주선(宇宙線), 지구자기(地球磁氣), 빙하학, 중력(重力), 이온층물리학, 경위도 측정, 기상학, 해양학, 지진학, 태양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IGY 기간은 태양 플레어와 그밖에 변동이 심할 때인 태양흑점수의 극대기와 일치되도록 했기 때문에 태양에 관한 연구가 특히 중요했다.

1932~33년에 있었던 제2차 국제지구극관측년 이후, 발전된 장비와 로켓 공학 및 정보처리 분야를 이용하여 국제적인 과학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950년 미국의 과학자 로이드 버크너를 주축으로 한 지구물리학자들이 제3차 국제지구극관측년을 제안했다. 이들 제안은 곧 극에 관한 연구에서부터 지구물리학의 더 넓은 분야로 확대되었다. 국제과학기구의 모체인 국제과학동맹회의(International Council of Scientific Unions)는 이 광범위한 연구의 제안을 승인했고, 이것이 나중에 국제지구물리관측년으로 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여러 나라의 과학기구가 국가별로 국제지구물리관측년 위원회를 설립했으며, 결국 70개국 이상이 IGY에 협력했다. IGY에서 로켓 공학을 이용하여 고도가 높은 상층대기현상을 조사하는 방법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1950년대말 미국과 소련이 초창기에 쏘아올린 여러 대의 인공위성이 IGY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데 사용되었다.

돌이켜볼 때 IGY를 통해 이룬 가장 중요한 성과는 해저 중앙해령이 계속 이어져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는 과학자들의 제안을 증명한 것이다(1958). 지구상에서 가장 큰 이 산맥의 구조적 원리는 판구조론(板構造論)이 지각의 기본현상이라는 점을 인식함으로써 1970년대에 와서야 이해되었다. 수백, 수천㎞ 높이에서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밴 앨런 복사대(Van Allen radiation belt)의 발견은 IGY의 또 하나의 큰 업적이다. 밴 앨런 내대는 1958년에 초기 익스플로러 위성에 탑재된 장비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어 우주탐사선 파이어니어 3, 4호가 밴 앨런 외대(外帶)를 발견했다.

특정한 발견과 결과들은 IGY의 업적 가운데 기술적인 결과의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객관적인 자료, 즉 지구의 물리현상에 대한 포괄적인 개관을 나타내는 자료를 수집하는 데 대부분의 노력이 쏟아졌다.

IGY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자 여러 가지 다른 국제협력연구계획에 활기를 불어넣게 되었다. 두드러진 것으로는 태양극소기국제관측년(1964~65), 국제수문학 10개년계획(1965~75), 국제해양탐사 10개년계획(1970~80)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지구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국제지구물리관측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