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종

다른 표기 언어 高宗 동의어 고려 제 23대 왕, 충헌왕 안효대왕, 忠憲王 安孝大王, 왕철, 王皞, 왕질, 王晊
요약 테이블
출생 1192(명종 22)
사망 1259(고종 46)
국적 고려, 한국
종교 불교
재위 1213년~1259년
시호 안효대왕(安孝大王)
능묘 홍릉(洪陵)

요약 고려 제 23대 왕이자 강종의 맏아들로 이름은 철, 자는 대명 또는 천우. 강종 사후 왕위에 올랐으나 안으로는 무신정권의 명목상 왕 노릇을 해야했으며 밖으로는 거란과 몽골의 침략으로 인해 도읍을 강화도로 옮겨 오랜 항쟁을 버텨야했다. 전쟁은 태자가 화친의 표문을 가지고 몽골에 입조하고 나서야 종언되었고, 이후 고려는 몽골의 정치적 간섭을 받게 되었다. 한편, 나라의 위기를 부처의 도움으로 물리치려는 염원을 담아 대장경판을 다시 조판하도록 명한 바 있다.

개요

고려의 제23대 왕. 이름은 철(㬚), 초명은 진(瞋)·질(晊), 자는 대명(大明)·천우(天祐)이다. 22대 강종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덕태후(元德太后) 유씨(柳氏)이고, 왕비는 21대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유씨(柳氏)이다. 1212년(강종 1) 태자에 책봉, 이듬해 강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박달재

충청북도 제천 · 충주시 사이에 위치한 박달재 전경. 이곳은 1217년(고려 고종 4) 7월 거란군이 10만 대군으로 침공해 왔을 때 김취려 장군이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전공을 세운 전승지로 유명하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무인정권기

계속된 최씨 무인정권의 제약을 받아 실권을 잡지 못했다. 당시 무인정권의 실권자인 최충헌(崔忠獻)은 명종과 희종을 폐하고 신종·희종·강종·고종을 세우는 등 마음대로 국왕을 폐립하는 권력을 행사했다. 고종은 1218년 당시 최고 실력자인 최충헌이 70세로 자리에서 물러나려고 하자 궤장을 주어 계속 정사를 돌보게 했으며, 이듬해 왕씨 성을 주었다.

1219년 최충헌이 궤장과 왕씨 성을 반납하고 죽자, 그의 아들 최우(崔瑀)가 실권을 잡고 정방을 통하여 백관의 인사를 좌지우지했으므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258년 만년에 이르러 최의(崔竩)가 대사성 유경(柳璥)과 별장 김인준(金仁俊) 등에 의해 제거된 후 왕권이 복구되었으나, 실권은 여전히 김인준과 임연 부자에게 있었다.

고종제서

전라남도 송광사 내 박물관에 고종제서(국보 제43호)가 전시되어 있다. 이 제서는 1215년(고려 고종 2년) 왕이 진각국사 혜심에게 대선사의 호를 내린 고명문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몽고의 침입

고종 때는 북방민족의 흥망이 빈번했고 또한 이로 인한 타격도 컸다. 1231년부터 30여 년 간에 걸쳐 몽고의 침략이 자주 있어 강화도로 도읍을 옮겨가며 28년간 항쟁했으나, 막대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가져왔다.

1232년 대구 부인사(符仁寺)에 보관되고 있던 현종 때의 대장경판이 소실되고, 1238년(고종 25)에는 경주 황룡사의 9층탑이 불에 타버렸다. 이듬해 몽고에서는 고종의 친조와 성곽 철거를 조건으로 철병하고 실행을 강요하므로 하는 수 없이 영녕공 준을 볼모로 보냈다.

그러나 몽고에서는 친조를 시행치 않은 것을 이유로 자주 침입하므로 1259년에는 부득이 태자 전(倎, 뒤의 원종)을 보내어 조회의 형식을 취하고 강화의 내성과 외성을 헐었다. 이러한 태자의 친조와 성곽의 철거는 몽고에 대한 굴복을 뜻했으며, 1270년 몽고의 세력을 등에 업은 원종(元宗)과 그 일파의 거사로 무인정권은 무너졌으나, 그후로 몽고의 정치적인 간섭을 받게 되었다.

대장경조판

한편 고종은 1227년 감수국사 평장사 최보순(崔甫淳), 수찬관 김양경(金良鏡)·임경숙·유승단(兪升旦)에게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하게 하여 사관과 해인사에 각각 보관시켰다. 그리고 부처의 도움으로 외적을 물리치려고 1237~51년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소실된 대장경판을 다시 조판했다(→ 팔만대장경).

시호는 안효(安孝)이며, 능은 홍릉이다.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해인사에 보관중인 팔만대장경

ⓒ Lauren Heckler/wikipedia | CC BY 2.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고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