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926년 4월 5일 지린 성에서 결성된 항일독립운동조직. 만주 정의부, 천도교 혁신파, 공산주의 등 각각의 파를 막론하고 한 이념 아래에 모여 무장투쟁을 일으킬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창당 당시 위원장은 양기탁이었다. 1926년 위원 이동락이 일제에 체포된 것을 기점으로 많은 위원들이 각지에서 검거되면서 와해되었다.
이 시기까지 만주지역 한인민족운동은 직접적인 무장투쟁과 민생교육 등의 자치활동에 주력해왔다. 또한 민족진영 일부에서는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과 그것의 국제적 옹호를 사명으로 하는 코민테른 정책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운동에 투신했다. 이에 따라 만주지역의 독립운동가들은 정당정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념없는 혁명, 이데올로기 없는 독립투쟁은 오히려 무자비한 반동밖에는 초래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그 결과 3월 5일부터 만주 정의부의 양기탁(梁起鐸)·고할신(高豁信)·현정경(玄正卿)·오동진·곽종대(郭鍾大) 등과 천도교 혁신파 김봉국(金鳳國)·이동구(李東求)·송헌(宋憲), 노령의 공산주의자 최소수(崔素水)·이규풍(李奎豊)·주진수(朱鎭洙) 등이 모여 치밀한 이론교환을 하여 일정한 이념 아래 각 파를 망라하여 무장투쟁과 자치조직을 지도할 지도조직으로서 고려혁명당을 결성했던 것이다.
창당 당시 간부진은 위원장 양기탁, 책임비서 이동구, 위원 정이형(鄭伊衡)·현정경·고할신·오동진·이동락(李東洛)·김봉국·현익철(玄益哲)·이규풍·최소수·주진수·곽종대 등 13명이었다. 당원수는 정당원과 준당원을 합하여 1,500여 명이었다. 그러나 1926년 12월 이동락이 장춘에서 일제에 체포된 것을 시작으로 정이형·이동구·이원주(李元柱)·유공삼(柳公三)은 하얼빈에서, 송헌·장지필(張志弼)·홍병기(洪秉箕)·이동욱(李東郁)·오승환(吳承煥)·서광훈은 국내에서, 김봉국은 랴오닝 성에서, 오동진은 지창선에서 각각 체포되면서 고려혁명당은 와해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