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주송화산출토석조반가사유상

다른 표기 언어 慶州松花山出土石造半跏思惟像

요약 삼국시대 신라의 석조반가사유상.

높이 125㎝.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경상북도 경주시 서쪽 송화산 기슭에 있는 김유신장군 묘의 재실(齋室)인 금산재에서 1909년 발견된 것으로 머리 부분과 양 팔이 절단되어 없어지고 몸체도 마멸이 심해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 아니다.

송화산출토석조반가사유상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체는 나형으로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이며 목걸이 장식이 남아 있다. 아래로 늘어뜨린 왼쪽 무릎 위에는 오른쪽 다리를 얹고 그 위에 왼손이 놓여져 있으며 턱 밑을 받쳤던 오른손 팔꿈치 일부가 오른쪽 다리 위에 남아 있어 반가사유의 자세를 한 보살상임을 알 수 있다. 허리에 두른 군의는 약간 두툼하게 처리되었고 대좌 전체를 덮으면서 길게 늘어져 겹쳐진 옷자락의 끝은 부드러운 굴곡선으로 마무리되었다. 양쪽 허리로부터 늘어진 군의의 띠자락은 대좌의 좌우 측면에서 밑에까지 내려와 장식적인 효과를 준다.

대좌는 상의 뒷면에서 보면 허리부분이 잘록한 원통형으로 그 밑에 1줄의 음각선이 둘러진 간단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사방에서 볼 수 있게 원각으로 조각된 석조반가사유상은 경북 봉화군 물야리(勿野里)에서 출토된 예가 있기는 하나 현존하는 우리나라 불상 중에서는 보기 드문 원형조각상이다. 이 석조반가사유상은 봉화 출토의 반가상과는 형식면에서 약간 다르며 조각기법이 약간 앞선 것으로 보아 대략 6세기말 또는 7세기초의 조각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신라

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주송화산출토석조반가사유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