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산시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경상북도의 남부에 있는 경산시의 유물·유적 현황과 관광 자원 현황.

경산시에는 국가지정문화재(보물 5, 사적 3)와 문화재 자료 3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경산임당동고분군(慶山林堂洞古墳群, 사적 300호)과 경산조영동고분군(慶山造永洞古墳群, 사적 331호)이 대표적인데, 특히 1982년 발굴된 임당동고분군에서는 금동관을 비롯하여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또 남천면·자인면·용성면 등지에 고인돌이 남아 있다.

압량읍에는 삼국시대의 고대식광장(古代式廣場)인 경산병영유적(慶山兵營遺蹟, 사적 218호)이 있고, 자인면 북사리, 압량읍 압량리, 남산면 안심리, 용성면 등지에는 삼국시대의 고분이 분포한다. 군사 유적지로는 압량 장대산(將大山), 용성산성(龍城山城), 성산봉대(城山烽臺), 시산봉대(匙山烽臺) 등이 있다. 주요문화재로는 상감초화문병(象嵌草花文甁, 보물 제239호)이 대동(大洞)에 위치해 있는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불굴사(佛窟寺)·선본암(禪本菴)·장림사(長林寺)·죽림사(竹林寺)·화련암·환성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그 경내에 불굴사3층석탑(보물 제429호)·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환성사대웅전(보물제562호)·환성사심검당(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선본암3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등이 있다.

관봉 석조여래좌상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에 위치한 불교 석상.

ⓒ Barnkim/wikipedia | Public Domain

유교 및 교육에 관한 유적으로는 신교동에 있는 경산향교대성전(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05호)을 비롯해 관란서원·금호서원·옥천서원·조곡서원 및 경산향교·자인향교·하양향교 등이 있으며, 고건축물로는 1546년 건조된 난포고택(蘭圃故宅,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80호)이 있다. 그외 동산사(東山祠)·상덕사(尙德祠)·정양제지(正養齊址) 등이 있다.

산재해 있는 유물·유적이 주요관광자원이며, 남산면 상대리에 있는 상대온천도 관광지로 한몫을 하고 있다. 그밖에 납동약수탕·반곡약수탕과 용성면에 40여 개의 낚시터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산시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