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옛날부터 모든 인간사회에는 일정한 결혼 형태가 존재해 왔다. 결혼의 중요성은 잘 다듬어지고 복잡하게 짜여진 법과 결혼의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법과 의식은 사회나 문화조직만큼이나 다양하고 많지만 보편적인 요소들도 없지 않다. 결혼의 주요한 법적 기능은 한 공동체 안에서 자녀의 권리를 보장하고 혈연관계를 정하는 데 있다. 결혼은 보편적으로 자손에게 합법적인 지위를 주며 상속권을 비롯하여 그 사회의 전통에 따라 정해진 다양한 특권을 누릴 수 있는 자격을 준다. 또한 장래에 배우자로 삼을 수 있는 사람들의 범위를 비롯해서 자손에게 허용할 수 있는 사회관계를 규정하기도 한다.
오늘날에 와서 결혼은 자유로운 선택의 문제가 되었으며, 사랑을 결혼과 결부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낭만적인 사랑이 결혼의 1차적 동기가 된 적은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사회에서는 결혼 상대자를 정하는 일을 조심스럽게 규제해왔다. 가까운 가족과 성관계를 갖는 근친상간은 어디서나 금지되어 있다(→ 근친상간). 어디까지를 근친으로 보는가는 사회에 따라 다르며 각 사회의 친족관계, 곧 가장 복잡한 형태로 손꼽히는 사회학적인 조직의 체계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어머니와 아들, 또는 아버지와 딸이 성관계를 갖거나 결혼하는 것은 어느 곳에서나 예외없이 금지되고 있다.
내혼제(內婚制)는 자기 부족이나 집단 출신하고만 결혼하는 관습으로서 결혼에 관한 가장 오래된 규칙이기도 하다. 외부 집단과 교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이런 식의 결혼은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자기가 속한 사회·경제·인종 집단 안에서만 결혼하도록 문화적 압력을 넣는 일은 오늘날에도 많이 일어나고 있다.
외혼제(外婚制)는 외부집단 출신과 결혼하는 관습으로서 친족관계가 아주 복잡한 사회에서 볼 수 있다. 이런 사회에서는 같은 조상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친족집단 안에서 결혼하는 것을 금지한다. 외혼 관습은 이혼한 배우자가 상대방 형제와 결혼하는 것을 금지하는 영국의 경우처럼 변화된 형태로 오늘날까지 일부 혼인법에 남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