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게송

다른 표기 언어 偈頌

요약 불교 시의 한 형식.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나 불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8음절을 하나의 구로 하여 2개의 구가 하나의 행을 이루고, 다시 2개의 행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32음절의 시이다. 이를 수로가(首盧迦:loka)라 한다. 이것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는 4개의 글자나 5개의 글자를 4개의 구가 되도록 하여 하나의 게를 이루게 한다. 선종에서 도를 깨우친 경지를 표현하기 위한 게송은 선게(禪偈)라고 했다. 이 게송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짓는 사람의 자유로운 상상력에 따라 창작되었다. 그러므로 이 게송은 개인의 창작 요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문학작품으로 볼 수 있다. 고려 말기의 고승 보우는 그의 문집 〈태고화상어록〉에서 자유로운 형식과 기발한 착상의 게송을 수십 수 지어 남겼는데 그 문학성이 뛰어나다.

산스크리트 가타(gāthā)의 음사인 게(偈)와 의역인 송(頌)을 함께 부른 것이다. 게(偈)·게타·가타라고도 불린다.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나 불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8음절을 하나의 구(句)로 하여 2개의 구가 하나의 행(行)을 이루고, 다시 2개의 행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32음절의 시이다. 이를 수로가라 한다. 이것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는 4개의 글자나 5개의 글자를 4개의 구가 되도록 하여 하나의 게를 이루게 한다. 좁은 의미의 게는 산문없이 운문만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노래하는 것을 가리키며, 이것을 고기게라 한다.

산문으로서 부처의 가르침을 서술한 다음 다시 운문으로 산문의 내용을 집약하여 읊은 것을 중송게(重頌偈:geya)라 한다. 한시로 번역된 게는 외형상 한시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압운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 선종에서 도를 깨우친 경지를 표현하기 위한 게송은 선게라고 했다. 이 게송은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짓는 사람의 자유로운 상상력에 따라 창작되었다. 그러므로 이 게송은 개인의 창작 요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문학작품으로 볼 수 있다.

고려 말기의 고승인 보우는 그의 문집 〈태고화상어록 太古和尙語錄〉에서 자유로운 형식과 기발한 착상의 게송을 수십 수 지어 남겼는데 그 문학성이 뛰어나다. 조선 중기의 고승인 사명대사는 게송을 일반 근체시와는 달리 구별하여 수십 수의 선게를 남겼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게송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