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버려진 땅을 일구어 논밭을 만드는 것.
넓은 의미로는 바다와 호수를 메꾸어 경지를 만드는 간척사업도 포함된다. 개간은 단순히 땅을 일구어 경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일구어 놓은 땅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한 관개시설·배수시설·도로 등의 부수시설을 만드는 작업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농업생산을 늘리기 위해 단위면적당의 수확을 늘리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지만 인구 증가가 이같은 방법에 의한 수확량 증가를 능가해 왔기 때문에 예로부터 여러 나라에서는 개간을 하여 경지를 확장 또는 조성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해왔다.
개간 대상은 산림·방목지·벌채적지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대상지에 대한 개간 방법은 약간씩 차이가 있다. 개간 대상지의 종류에 따라 1~2가지 단계가 생략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개간은 나무베기·풀베기·불놓기·뿌리뽑기·파일구기·흙부수기 등의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산림을 개간할 때는 나무를 벌채하는 일부터 시작하지만 나무의 지름이 작은 경우에는 풀베기 작업 및 뿌리뽑기 작업을 함께 실시하기도 한다.
불놓기를 하면 지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풀베기를 할 때 힘이 덜 들며 식생을 비료화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뿌리뽑기는 개간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작업인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개간 대상지의 대부분이 산림인 경우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뿌리뽑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벌채한 나무의 밑동을 그대로 방치한 채 경작하다가 여러 해가 지난 다음 밑동이 썩은 후에 뿌리뽑기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와 같이 밑동을 그대로 개간지에 남겨둔 채 경작하게 되면 농사 능률이 떨어지고 병충해와 잡초가 무성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밑동은 가능한 한 빨리 없애야 한다. 최근에는 불도저·레이크도저 등의 장비가 많이 도입되어 뿌리뽑기뿐 아니라 파일구기·흙부수기 등의 작업에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개간으로 경지 면적이 많이 증가해 왔으나 최근에는 개간으로 증가하는 경지의 양보다는 주택지·도로 등의 다른 목적으로 전용되는 경지의 양이 더 많은 실정이다. 한편 열대림을 개간하기 위해 불을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같은 화전은 전세계적으로 열대림을 파괴하는 커다란 원인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