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가우초

다른 표기 언어 gaucho

요약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의 팜파스(대초원지대)에 살며 유목생활을 하던 목동이나 마부.

가우초(gaucho)

ⓒ magical-world/wikipedia | CC BY-SA 2.0

쾌활한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중반까지 번성했다. 북아메리카 서부 개척지에서 활동했던 카우보이와 비슷한 민속영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들은 주로 메스티소(유럽인과 인디언의 혼혈인)였으나 백인이나 흑인, 물라토도 있었다. 이들이 지은 발라드나 전설을 통해 가우초 문학(la literatura gauchesca)이 꽃피었고 아르헨티나 문화적 전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아르헨티나 작가들은 가우초의 전성기가 지난 뒤인 19세기말부터 이들을 찬양하는 작품을 쓰기 시작해 호세 에르난데스의 서사시 〈가우초 마르틴 피에로 El gaucho Martin Fierro〉(1872)와 리카르도 귀랄데스의 소설 〈돈 세군도 솜브라 Don Segundo Sombra〉(1926) 등이 나왔다.

18세기 중반 영국·네덜란드·프랑스·포르투갈의 무역업자들이 부에노스아이레스 근방의 변경지대에서 이윤이 많은 가죽과 수지사업을 불법적으로 벌일 때 가우초들은 민가에서 도망쳐나와 광활한 팜파스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육식동물에게 잡아먹히는 일도 없어 왕성하게 번식하여 엄청난 숫자에 이르던 말과 가축들을 사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올가미 밧줄, 칼, 볼레아도라스(boleadoras)라는 무기 등을 썼는데 이는 가죽끈에 3개의 쇠뭉치나 돌뭉치가 달린 기구로 짐승의 다리를 향해 던져 다리를 휘감아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었다.

가우초의 주식은 고기였으며 허리에 치리파를 두르고 모직으로 된 폰초, 발목까지 내려오는 길고 주름 잡힌 윗옷인 봄바차를 입고 긴 가죽 장화를 신었다. 오늘날에도 아르헨티나의 목동들이 이 의상을 그대로 입고 있다.

가우초는 풀잎으로 지붕을 이은 작은 진흙 움막에서 살았고 짐승가죽 더미 위에서 잠을 잤다. 결혼예식은 거의 없었고 주로 가톨릭 신앙이 약간 섞인 오래된 미신을 믿었다. 여가 때는 도박을 하거나 술을 마시고 기타를 쳤으며 사냥, 싸움, 연애를 하는 모습을 찬양하는 조잡한 시를 지어 불렀다.

18세기말부터 민간 소유주들은 반야생 가축들을 팜파스에서 잡아들였고 이들을 길들이는 데 능숙한 가우초들을 고용하기 시작했다. 19세기말 팜파스에는 울타리를 친 거대한 가축농장들이 이리저리 들어섰다. 잡종보다 순종 가축들이 늘어나게 되고 알팔파라는 목초를 먹여 이들을 키우게 됨에 따라 예전의 목축경제 대신 농경경제가 자리잡게 되었다.

따라서 한때 자유로웠던 가우초는 농장의 일꾼이나 날품팔이 노동자가 되었다.

19세기초 가우초는 리오데라플라타 지역 군대의 중추 역할을 했다. 이 지역에서는 스페인의 식민정권을 몰아낸 뒤 서로 경쟁관계에 있던 카우디요(caudillo:지방의 군사 지도자)들끼리 수십 년에 걸친 내부투쟁을 벌였는데 몬토네라(montonera)라는 난폭한 기마단들도 이 전쟁에 참가해 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외곽의 여러 지역에서 연방주의를 내세운 카우디요들 밑에서 싸웠다. 브라질에서는 리우그란데두술 주(州)의 주민을 가리켜 가우추(gaúcho)라고 부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화 일반

문화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가우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