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노인 체력증
진 백과

고혈압

hypertension, 高血壓

노인 고혈압

전 세계적으로 약 6억명 이상의 사람들이 고혈압을 앓고 있고, 고혈압 때문에 매년 3백만 명이 사망하는 통계 결과처럼 고혈압은 매우 흔한 질병이며 노인의 사망원인들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다.

고혈압은 병명이라기보다 하나의 증세라고 볼 수 있는데 건강한 사람도 정신적인 흥분이나 운동으로 증가할 수 있고, 하루에도 몇 번씩 변화를 보인다. 아래는 고혈압의 단계와 생활습관 교정권고안을 제시한 것이다.

단계 수축기/이완기(mmHg) 생활습관 권고
정상혈압< 120/80생활습관 교정 격려
고혈압 전단계120-139/80-89생활습관 교정 권고
1기 고혈압140-159/90-99생활습관 교정 권고
2기 고혈압> 160/100생활습관 교정 권고
고혈압의 단계와 생활습관 교정권고안
교정 권고내용 평균 수축기 혈압
감소 범위
체중 감소정상체중의 유지(BMI: 18.5~24.9)5-20mmHg/10kg
DASH 다이어트포화지방의 구성을 줄이면서 과일 및 야채,
저지방 음식들을 충분하게 먹는 것에 적응
8-14mmHg
나트륨 감소식이 나트륨 섭취를 하루 2.4g으로 감소
- 국내 권고사항은 2.0g(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09)
2-8mmHg
운동걷기와 같은 심폐지구력 운동을 규칙적으로 참여
(적어도 하루 30분, 1주일의 대부분)
4-9mmHg
알코올 섭취의 절제2잔보다 더 마시지 않는 것으로 섭취를 제한
(맥주 24온스, 와인 10온스, 표준도수 80도의 위스키 3온스)
2-4mmHg
출처: United State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JNC 7 Express), 2003.
고혈압의 생활습관 교정 권고와 혈압 감소 범위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의 원인은 쉽게 규명하기 어려운데 많은 병인들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보았을 때 본태성고혈압(일차성고혈압)과 속발성고혈압(이차성고혈압)으로 구분된다. 고혈압 환자의 약 90%는 원인을 딱 한가지만으로 규정할 수 없으며 아래의 〈고혈압의 분류에 따른 원인〉과 같이 굉장히 여러 요인들을 열거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속발성고혈압은 질환에 의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

분류 원인
본태성고혈압(90%이상)유전적 요인 : 혈압 및 체액 전해질 조절계(Renin angiotensin system),
교감신경계, 나트륨 조절계,
순환조절 및 혈액응고의 생리활성계(Kallikrein, Kinkin system)
운동 부족 : 심기능저하, 혈관의 탄성저하, 근기능 저하
속발성고혈압(10%이하)영양 상태 : 과다한 염분 섭취량, 고지방식섭취, 비만, 과식, 과음, 흡연
정신건강상태: 흥분, 긴장, 과도한 스트레스
심장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호르몬성질환, 혈관성질병
고혈압의 분류에 따른 원인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은 증가한다. 혈관은 굉장히 탄력적인 조직이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혈관은 수축할 때 혈압이 높아지고 이완할 때 혈압이 낮아져 혈액을 온몸으로 보냈다가 심장으로 가져오는 일을 반복한다. 그러나 나이가 듦에 따라 동맥벽에 지방물질이 쌓이고 경화되거나 결합조직이 두꺼워 지면서 탄력이 감소하고, 신경과민반응이나 신장의 기능부전으로 인해 동맥이 말초혈액 흐름에 과도한 저항을 주게 된다(임순길, 2006).

노화에 따라 동맥의 벽은 탄력성을 잃고 경화되며 플라그(plaque)가 쌓이면서 혈관 내벽이 좁아진다. 동맥은 많은 산소와 영양분을 여러 장기나 세포로 보내야 하는데 좁아진 혈관은 혈액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합병증 들이 따라 오는데 뇌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면 뇌졸중, 뇌혈전등의 병증이 발생하고,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면 협심증, 심근경색등의 병증이 발생되며 신장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면 고혈압, 신부전증 등의 병증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연관된 병들은 개별적으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고리를 물고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이 있더라도 증상이 없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자신이 고혈압 환자인 것을 자각하지 못하고 안다고 하더라도 치료를 제대로 받거나, 제대로 고혈압의 조절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도 얼마 되지 않는다. 증세가 없기 때문에 고혈압이 있거나 안다고 하더라도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증세가 없더라도 어느 정도 진행단계 일 수 있으며, 갑자기 뒷목이 뻣뻣해 지거나 가슴이 답답해지는 등 아래와 같은 증상이 느껴질 때는 이미 심혈관계에 이상이 온 것이라 생각해야 한다.

두통 주로 아침에 일어날 때 심하나 이후 호전된다.
현기증 고혈압 환자에게 드물게 나타나지만 현기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심부전 고혈압으로 인한 심장질환으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며 더 진행되면
악화되어 운동 시 또는 일상생활에서 있어 호흡곤란을 겪는 경우를 겪게 된다.
신기능 저하 고혈압은 장기간 경과되면 혈액을 재흡수 하는 신장에 부담을 주어
신장기능이 저하되고 빈혈, 부종 등이 나타난다.
중추신경계 질환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면 고혈압성 뇌졸중을 일으켜 혼수, 혼미 등의
의식장애와 경련을 일으킨다.
고혈압의 증상

증상이 없기 때문에 고혈압을 방치하면 〈고혈압의 합병증〉에서 나타내고 있는 여러 가지 합병증으로 발전하여 돌이킬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르게 되므로 평소에 꾸준한 운동과 혈압의 체크로 건강을 유지하여야 한다.

뇌질환 뇌졸중, 뇌출혈, 뇌혈전
안구질환 안구출혈, 망막병증, 시력소실
심장질환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비대, 심부전
신장질환 신장경화증, 신부전증
동정맥질환 동맥경화, 대동맥 박리, 말초혈관질환, 부정맥, 사지동맥폐색증
기타질환 돌연사, 빈혈, 발기부전
고혈압의 합병증

고혈압과 운동

고혈압은 조절 가능한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와 함께 운동을 병행한다면 뇌졸중이나 심근경색등의 동맥경화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개선 할 수 있다. 고혈압을 가진 노인들이 운동 효과는 혈압의 저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저하, HDL-콜레스테롤 증가, 체중감소, 당대사의 활성화 및 정신적 건강의 향상을 들 수 있다.

미국 고혈압 합동위원회의 제 7차 보고서에 의하면 고혈압 관리를 위한 생활양식의 변화 중에서 매일 30분 이상 활기차게 걷기와 같은 심폐지구력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시해 간다면 수축기 혈압을 4~9mmHg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 아래 그림 〈심폐지구력운동과 근력운동에 의한 혈압의 감소 변화〉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심폐지구력 운동과 근력운동에 대한 오랜 연구를 모아 결과를 분석한 연구들에서도 심폐지구력운동이나 근력운동은 수축기 혈압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근력운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운동이 고혈압을 감소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두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운동의 급성적인 효과로 1번의 운동 이후 운동의 강도와는 상관없이 즉시 평균 5~7mmHg의 혈압 감소를 보이며 이러한 변화는 최대 22시간까지 지속된다고 하였으며, 만성효과로는 운동 효과의 축적으로 인해 평상시에도 혈압이 감소된다고 하였다. 장기간 운동을 계속하면 안정 시 혈압이 낮아지는데, 이것은 심기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운동에 의해 심장기능은 1회 심박출량의 증가, 안정시 심박수 저하, 심장의 모세혈관 발달, 외에도 말초혈관 저항의 감소, 자율신경 및 내분비계기능의 증가, 섬유소 용해능력의 항진 혈소판 점착성의 저하 등에 의해 혈압이 저하된다.

심폐지구력운동과 근력운동에 의한 혈압의 감소 변화

ⓒ 국민체육진흥공단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혈압은 주로 심박출량과 대동맥의 탄성 및 말초혈관저항에 의해 혈압이 변화되는데, 운동을 하면 혈관이 확장 되어 말초혈관의 저항은 감소하지만, 심박출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혈압이 높아지는 것이다. 고령자는 젊은 층에 비해 같은 심박수에서 심박출량이 적어도 혈압이 상승하는 것은 대동맥의 탄성이 떨어지고, 말초혈관의 확장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압이 상승한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혈관 저항의 2가지 요인으로 규정되며, 약물요법은 어느 한쪽에 의해 혈압을 저하 시키지만, 운동은 2가지 요인에 작용하여 혈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에 의해 고혈압의 발생을 줄이고 심혈관계 및 뇌졸중을 예방하여 사망률 감소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고혈압에서의 운동 효과
혈압의 감소
카테콜아민의 감소
말초혈관 저항의 감소
엔돌핀 증가

운동형태

본래 고혈압을 가진 환자에게는 걷기, 달리기, 수영 등의 심폐지구력운동이 권장되었으나 근력운동에 대한 안전성이 연구를 통해 입증되면서 근력운동도 운동 프로그램에 제시고 있다. 그리고 어느 한가지의 운동보다도 심폐지구력운동과 근력운동이 조합된 복합운동이 추천된다.

요인 내용
운동형태심폐지구력운동걷기, 자전거타기, 달리기, 수영, 물속에서 걷기 등
근력운동머신 및 프리웨이트, 밴드 등
순환식 형태의 근력운동을 추천
운동빈도심폐지구력운동가급적 매일
근력운동주당 2~3회
운동강도심폐지구력운동40~60% VO2 max,
자각적 운동강도
Borg 지수: 11(편하다)~13(약간 힘들다),
RPE 지수: 6~20
근력운동피로를 느끼지 않을 정도로 8~12회 반복
운동시간 운동 1회마다 30~60분
운동 1회를 한번에 하기 힘들면 10분씩 나눠 여러 차례 실시할 수 있음
비만인 고혈압 환자에게 권장되는 사항
칼로리 소비는 주당 1000~2000kcal 이상
총 운동시간은 2.5~5시간(심폐지구력 운동)
* 운동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으로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항상 5-15분 정도 실시
고혈압 환자의 운동 프로그램 권고 지침(ACSM/AHA 권고사항 참조)

또한 밑에서는 고혈압 환자의 운동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고혈압 환자의 운동 시 주의사항
1. 혈압의 적절한 관리와 조절을 위해 운동 전, 운동 중, 운동 후 혈압을 모니터한다.
2. 항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운동 이후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의 시간을 늘려야 한다.
3. 운동에 대한 반응이 고혈압이나 약물에 의해 변할 수 있을 때 심박수로 운동강도를 모니터하는 것을 RPE를 사용하여 보조할 수 있다.
4. 항고혈압 약물로 인하여 열을 분산시키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수분 섭취량과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아래에서 제시하고 있는 근력운동 금기 증상과 합병증도 잘 파악해서 운동 프로그램의 실시 전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고혈압 환자의 근력운동 금기 증상과 합병증
불안정한 협심증 또는 뇌허혈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180/110mmHg)
조절되지 않는 부정맥
좌심실 기능 저하
말기의 신장 또는 망막 손상 환자
항고혈압 약물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환자

운동빈도

주3회 이상 5회 이하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개인의 운동능력에 맞게 규칙적으로 심폐지구력운동을 하게 되면 개인차는 있으나 수축기 혈압이 20~40mmHg, 이완기 혈압은 5~15mmHg까지 저하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고혈압이 금새 좋아졌다고 멈출 것이 아니라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서 생활화하는게 좋다.

운동강도

고혈압 환자의 운동능력은 일반인에 비하여 30% 정도 떨어져 있다. 운동강도 설정시 낮은 강도로 장시간 운동을 설정하는 것이 좋고, 70% VO2max 이상의 고강도에서는 혈관상승이 높고, 카테콜아민의 증가에 의해 생리적 부담과 심혈관계에 가해지는 부담이 크므로 고혈압에는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에서 운동강도를 설정할 때는 먼저 심혈관계에 무리한 부담이 가해지지 않고 피로하지 않는 범위의 40~60% VO2max 범위를 제안한다. 자각적 운동강도를 체크할 때 운동 중에 스스로 편안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의 강도가 가장 알맞은 정도이다. 보통 자각적 운동강도로는 Borg 지수인 경우 11(편하다)~13(약간 힘들다), RPE 지수인 경우 6~20이 권고된다.

운동시간

고혈압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운동이 부족하고 체력수준이 낮기 때문에 처음 시작단계에서는 20~60분 정도로 하고 운동에 적응이 되면 점진적으로 증가 시켜 나간다. 고혈압의 정도와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1회 총 운동시간을 60분으로 하고 2~3회로 나누어 실시하는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 50% VO2max 강도로 60분 운동하면 약 300kcal의 에너지가 소모될 수 있다.

고혈압 환자는 불면증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불안을 동반하는 일이 많으며,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가볍고 즐거운 운동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추운겨울의 새벽 운동은 피하고 오후 시간대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김종호(2009). 고혈압 · 당뇨병환자의 운동상담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적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Jones DW, Materson BJ, Oparil S, Wright JT Jr, & Roccella EJ. (2003).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89, 2560–2572.
  • ・ Whelton SP, Chin A, Xin X, & He J. (2002).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n Intern Med, 136(7), 495-503.
  • ・ Kelly GA, & Kelly KS. (2000).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and resting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Hypertension, 35(3), 838-843.
  • ・ Wallace JP. (2003). Exercise in hypertension: a clinical review. Sports Med, 33(8), 585–598.
  •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1995).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5thed. Phipadelphia: Lea & Febiger.

출처

노인 체력증진 백과
노인 체력증진 백과 도서 소개

노인기의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법과 각 질환에 따른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전체목차
1. 노인기 체력향상 운동프로그램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근력 · 근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유연성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평형성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협응성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전체목차
국민체육진흥공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고혈압노인 체력증진 백과, 국민체육진흥공단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