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농촌진흥청
전통향토음식
DB

차조떡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정성떡, 차좁쌀인절미
요약 테이블
분류 떡류
성격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식재료

차조 3kg(18컵), 콩가루 250g(3컵), 소금 1큰술

조리방법

1. 차조는 2시간 동안 충분히 불린 다음 체에 건져 물기를 뺀다.
2. 시루나 찜통에 면포를 깔고 불린 차조를 넣고 1~2시간 푹 찐 후 뜸을 들인다.
3. 도마(또는 안반)에 2를 넣고 차조밥이 펴지게 문지른 다음 뜨거울 때 찰떡이 될 때까지 친다.
4. 도마나 넓은 쟁반에 콩가루를 고루 뿌려 놓고 3을 길게 편평한 모양으로 깐 다음 그 위에 볶은 콩가루를 고루 뿌려 손으로 알맞은 두께로 펴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그릇에 담아 낸다.

참고사항

강원도 태백에서는 차좁쌀을 이용한 인절미를 만들어 먹었는데, 주로 이바지떡(정성떡)으로 이용하였다.‘정성떡’은 정성을 드려 만든 음식으로 시집에서 며느리를 귀엽게 여겨 달라는 친정어머니의 정성이 담겨 있다고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농촌진흥청 전통향토음식DB
농촌진흥청 전통향토음식DB 전체항목 도서 소개

우리 향토음식들의 재료와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레시피

레시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차조떡농촌진흥청 전통향토음식DB, 농촌진흥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