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버섯사전

송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 > 송이속(Tricholoma)
서식지 소나무림의 땅
학명 Tricholoma matsurake
국내분포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발생시기 여름부터 가을까지
이용 식용, 균근형성
군락형태 단생,군생

균모의 지름은 8-25cm로 구형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고 가장자리가 위로 올라간다. 표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밤갈색의 섬유상 인편으로 덮여 있고 방사상으로 갈라져 흰살이 나타난다. 가장자리는 자루의 상부와 솜털 피막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살은 희고 치밀하며 독특한 향기가 있다. 주름살은 백색이고 밀생하고 갈색의 얼룩이 생기며 홈파진주름살이다. 자루의 길이는 10-25cm이고 굵기는 1.5-3cm로 상하 같은 굵기이고 속은 차 있으며 상부는 백색이고 하부는 갈색의 인피로 덮여 있다. 턱받이는 솜털모양이다. 포자의 크기는 8.5×6.5㎛이고 무색의 타원형이다.

발생은 6월과 가을에 2번에 걸쳐 소나무림의 흙에 군생하는데 6월 송이는 발생량이 적다. 가을 송이는 주로 일본에 수출되어 농가소득의 큰 수입원이 되고 있다. 소나무와 공생 생활을 하는 것으로 소나무의 뿌리에 외생균근을 형성하여 발생하며 뿌리의 성장과 함께 차차 바깥쪽으로 퍼져 나간다. 순수한 소나무 숲보다. 다른 잡목이 약간 섞인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수령이 20-30년 된 소나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많은 학자들의 끊임없는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인공재배에는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리산, 주왕산, 방태산, 어래산과 선달산 등 강원도 산간지방, 경상북도 북부지방에서 많이 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한다.

송이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버섯사전
버섯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산 버섯DB 1문, 7강, 80과, 197속, 1500종(북한버섯포함) 이상의 한국산 버섯 데이터베이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송이

버섯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송이버섯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