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CT(컴퓨터단층촬영 Computer Tomography)’는 X선과 컴퓨터를 결합함으로써 체내의 모든 부분을 관찰할 수 있는 진단장치로서 몸통의 수평단면, 곧 머리나 몸통의 가로절단면 단층상을 얻을 수 있고, X선 촬영에서 식별할 수 없는 체내의 조직을 판별할 수 있다. CT스캐너본체는 침대와 커다란 도넛형의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도넛형 부분에는 환자의 몸을 중심으로 하여, X선과 X선 검지기가 마주보게 배치되어 X선판이 회전할 때마다 여러각도에서 X선 흡수량의 미세한 변화가 컴퓨터에 기록된다.

‘MRI(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asonance Imaging)’는 방사선이 아니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정밀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가로로 자른 단면뿐만 아니라 원통형이나 원뿔형의 단면도 촬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해 널리 쓰여지고 있다. 인체의 대부분은 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검사를 하고 있는 사람의 몸에 자기장을 걸어주면 몸 안에 있는 수소 원자는 공명 현상에 의해 외부의 고주파로부터 특정한 진동수의 에너지를 흡수한다. 흡수된 에너지가 다시 방출될 때까지의 시간은 질병을 가진 세포에 따라서 다르므로 이 정보를 컴퓨터로 분석하면 원하는 부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M.R.I 촬영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04-09-03

출처

과학향기
과학향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생활 속의 크고 작은 궁금증에 대한 대답을 과학에서 찾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생활 속에 과학의 향기가 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CT와 MRI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