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과학향기

모기는 아이를 물까?

사람들은 여름의 불청객 모기를 귀찮은 존재로 느끼지만 다른 동물이 겪는 고충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모기는 소, 돼지, 닭, 오리 등을 가리지 않는다. 사람으로부터 빠는 피는 전체의 5% 정도에 불과하다. 소나 돼지가 모기에게 더 인기인 이유는 모기가 '피 사냥'에 나설 때 후각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시각으로 판별하는 범위는 불과 1∼2m인데 비해 동물 몸에서 발산되는 아미노산, 젖산 등의 냄새는 무려 15∼20m 밖 거리에서, 이산화탄소는 10∼15m 밖에서도 감지한다. 사람은 하루 2백50㎖의 이산화탄소를 내뿜지만, 소는 사람의 10배에 가까운 2천㎖나 배출한다. 어린이가 어른보다 모기에 잘 물리는 것도 호흡량이 많아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이다. 임신중인 여성도 호흡량이 많아 모기에 물릴 확률이 보통 사람보다 2배쯤 높다. 또한 땀을 많이 흘리고 씻지를 잘 않는 사람도 모기에 물릴 확률이 높다.

모기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2004-07-28

출처

과학향기
과학향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생활 속의 크고 작은 궁금증에 대한 대답을 과학에서 찾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생활 속에 과학의 향기가 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모기는 왜 아이를 잘 물까?과학향기,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