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농산물 〉 특용작물류 〉 기타류 |
---|---|
원산지 | 강원 평창/정선/인제/영월 등, 경기 남양주, 경남 함양 등 |
생산시기 | 5월 초~9월 |
생산량 | 2012년 19.5톤, 2013년 26.1톤 |
가공식품 | 산양삼된장, 엑기스 등 |
요약 산양삼은 산양산삼의 줄인말로 인삼의 종자를 산에 파종하여 인공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자연상태로 재배한 삼으로 장뇌삼이라고도 한다. 산양삼은 일반적으로 생으로 먹거나 약으로 달여서 먹는데, 장이 약하거나 기력이 약한 사람들은 생으로 먹는 것보다 달여서 먹는 것이 좋다. 산양삼의 말톨이라는 성분은 간기능, 심기능을 높이며 피로를 회복시켜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다. 새순이 나와 있지 않고, 몸통과 머리사이의 구분이 선명하며 몸통이 짧고 뭉툭한 것이 좋다.
생산
원산지 : 강원 평창/정선/인제/영월 등, 경기 남양주, 경남 함양 등
생산시기 : 5월 초~9월
생산량 : 2012년 19.5톤, 2013년 26.1톤
활용
식재 | 조리방법 | 활용가능메뉴 |
---|---|---|
산양삼 | 끓이기 | 산양삼 백숙, 산양삼 죽 등 |
기타 | 산양삼 앙금, 산양삼 약편, 산양삼 오리고기, 산양삼 떡갈비 등 |
중국산 산양삼
중국산 산삼의 수입량은 2014년 170kg(산림청 임산물수출입통계)으로 양이 크게 많지 않으나, 통계로 집계되지 않는 보따리 장사꾼을 통해 종자(묘)를 국내로 들여와 산에 이식하여 국내산 산양삼으로 속여 파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림청에서는 품질관리를 위한 생산이력제를 실시하여, 생산과정에서의 농약사용여부, 국내산과 수입산의 구별, 정확한 연령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한 피해사례를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구별 방법 : 한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농약(DDT, BHC, Hg 등)의 검출 여부로 판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