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사
흑·백 그 두꺼운 벽
케네디의 개혁 의지는 민권 운동에서도 잘 나타났다. 케네디 대통령과 그의 동생 로버트 케네디 법무장관은 주 사이를 연결하는 교통수단에서 인종차별을 철폐하고, 흑인의 투표권을 보장해주려 하였다.
1962년 10월에는 제임스 메레데스라는 한 흑인 청년이 미시시피주의 옥스퍼드에 있는 미시시피 대학에 입학하려 하였다. 연방법원은 그의 입학을 허가하도록 대학 당국에 명령했다. 그렇지만 철저한 인종차별주의자인 주지사 로스 바네트는 명령 시행을 거부했다. 그곳의 백인들 또한 법원의 명령에 반발하여 폭동을 일으켰다. 케네디는 질서를 되찾고 메레데스의 대학 강의 수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도시에 연방군을 파견했다.
1963년 4월에는 마틴 루터 킹 2세 목사가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 심한 인종 차별에 반발하여 광범위한 비폭력 시위를 시작했다. 그러자 그곳 경찰국장 유진코너가 개인적으로 명령을 내려 공격용 개와 최루탄, 전기막대, 살수기 등을 사용하여 킹 목사의 평화 행진을 저지하였다. 행진 중인 어린아이들도 여기저기 쓰러졌다. 수많은 시청자들이 이 장면을 TV로 시청하고 있는 가운데 시위군중들이 마구 체포되었다.
케네디에게 이 사건은 충격이었다. 그는 이것을 경고로 받아들였다. 더 이상 인종 문제를 회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사건이 있던 날 저녁 그는 TV 회견에서 미국이 현재 처해 있는 도덕적 문제를 말하였다.
"만약 어떤 미국인이 그의 피부색이 검다는 이유 때문에 우리 모두가 원하는 넉넉하고 자유로운 삶을 영위할 수 없다면, 우리들 가운데 누가 그의 피부색을 만족스럽게 바꾸어주고 자기가 할 일을 다시 할 것인가?"
이 연설이 있고 난 며칠 후 케네디는 공공시설, 가게, 식당, 극장, 호텔 등에서 인종에 따른 차별대우 및 차별고용을 금지하였다. 또한 학교 통합에 대한 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는 일련의 법안을 제출하였다.
케네디의 새로운 제안에 의회의 반발이 거셌다. 끈기 있는 투쟁만이 법안의 승인을 얻어내는 길이었다. 흑인들 자신도 그들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1963년 8월에 20만 이상의 시위자들이 워싱턴 D.C.의 말(Mall)가에서 가두 행진을 시작하였다. 시민권 보장을 위해 역사상 가장 큰 시위가 링컨 기념관 앞에서 벌어진 것이다.
이 집회의 지휘자는 마틴 루터 킹 목사였다.
"나는 꿈이 있습니다."
그는 반복되는 구절로 시작되는 탄원조 기도로 인종차별이 없는 사회의 건설을 호소했다. 군중들 역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이 가슴 가득 차올랐다.
"마침내 자유를 얻었네. 마침내 자유를 얻었네. 전능하신 하나님 감사합니다. 마침내 우리는 자유를 얻었습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가 흑인 영가로 연설을 끝맺자 그곳에 있던 모든 군중들이 '우리는 이기리라'는 찬송가를 합창하였다.
이 집회에 대해 처음에 케네디 대통령은 시위를 만류하는 입장을 취했으나 나중에는 공공연하게 지원을 해주었다. 따라서 이 집회는 쓰라린 인종투쟁의 의미보다는 시민권 보호에 대한 새로운 국가적 공약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였다.
케네디 대통령은 당시 미국 내의 흑인들의 처지에 대해 동정심을 갖고 그들의 인권신장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그러나 뿌리 깊이 박혀 있는 인종차별의 관습을 없애는 데는 아직도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흑·백 그 두꺼운 벽 – 이야기 미국사, 이구한,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