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오리나무

다른 표기 언어 alder 동의어 유리목(楡理木), 오리목
요약 테이블
분류 낙엽 활엽 교목
학명 Alnus Japonic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과 들의 습지, 하천 유역
번식
약효 부위 나무껍질
생약명 적양(赤楊)
20m 정도
자작나뭇과
채취기간 봄~가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서늘하며, 쓰고 떫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20~25g
주의사항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고 길이 6~12cm의 타원형, 달걀꼴 또는 달걀을 닮은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좁거나 둥글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의 양면에 윤기가 나며 7~10쌍의 측맥이 있다. 뒷면 맥 사이와 잎자루에 털이 있다. 잎자루의 길이는 2~4cm이다.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자줏빛을 띠는 갈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미상 꽃차례를 이루며 꼬리처럼 길게 늘어져 달린다. 암수한그루의 단성화이다. 길이 4~9cm인 수꽃이삭은 아래로 길게 늘어지며 각각의 꽃턱잎에 꽃이 3~4개씩 달리는데 꽃덮이 조각과 수술은 각각 4개씩이다. 암꽃이삭은 달걀꼴의 작은 덩어리로 모여 달리는데 각각의 꽃턱잎에 암꽃이 2개씩 달린다.

열매

10월에 길이 2~2.5cm인 긴 달걀꼴 또는 넓은 타원형의 견과가 2~6개씩 달려 적갈색으로 익는데 솔방울같이 보인다. 씨에는 양쪽에 뚜렷하지 않은 날개가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유리목(楡理木)·오리목이라고도 부른다.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5리마다 심었다 하여 오리나무라 부른다는 속설이 있다. 이 나무는 왕릉 부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왕릉이 비교적 낮은 지대에 만들어져 오리나무가 자랄 수 있는 입지 조건이 갖추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나무껍질은 대개 회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고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작은 가지는 갈색 또는 자갈색을 띠며 털이 있거나 없고 껍질눈이 뚜렷하다. 겨울눈은 거꿀달걀꼴을 닮은 긴 타원형으로서 3개의 능선과 더불어 자루가 있다. 유사종으로 잎 끝이 매우 뾰족한 뾰족잎오리나무, 어린가지와 잎 뒷면에 갈색 털이 촘촘히 난 털오리나무, 어린가지와 잎에 점질이 많은 웅기오리나무, 잎의 톱니가 날카로운 섬오리나무가 있다. 공업용·사방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적양실(赤楊實)이라고 한다. 목재는 재질이 치밀하고 연하여 기구재·건축재·칠기재 등의 재료로 쓰였으며 특히 함지박·나막신을 비롯해서 목기의 재료로 많이 쓰였다. 열매에는 타닌 성분이 많아 타닌을 만드는 원료와 천연 염료로 쓰인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효능

주로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변혈증, 비뉵혈, 출혈, 해열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오리나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오리나무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