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당근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학명 Daucus carota var. sativa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밭에 재배
번식
약효 부위 뿌리·잎
생약명 호나복(胡蘿蔔)
1m 정도
미나릿과(산형과)
생활사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가을
취급요령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달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뿌리 20~30g
주의사항 많이 먹을수록 몸에 이롭다.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3회 깃꼴겹잎인데 잘게 찢어진 깃 모양의 겹잎이 뿌리에서 모여나며 거친 털이 있다. 뿌리잎의 잎자루는 길다.

당근 잎

ⓒ 학술편수관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7~8월에 잘고 흰 오판화가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차례로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차례받침은 잎 같고 뒤로 젖혀지며 갈라진다. 꽃받침과 꽃잎과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1개의 암술이 있고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9월에 긴 타원형의 분과가 열려 익는데 가시 같은 털이 달려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당나복(唐蘿蔔)·호나복·홍나복(紅蘿蔔)이라고도 한다. 중국에는 원나라 때 서쪽에서 왔다 하여 호나복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줄기가 곧게 자라 가지가 갈라지는데 세로로 능선이 있으며 퍼진 털이 있다. 열매가 익으면 뿌리와 잎이 말라 버린다. 굵고 곧은 긴 원뿔 모양의 뿌리를 홍당무라고 하는데 적황색·붉은색을 띠며 맛이 달콤하고 향기가 많아 식용·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항간에 간혹 쓰는 '唐根(당근)'이라는 한자는 취음(取音)이어서 올바른 이름이 아니므로 써서는 안 된다. 과거에는 당근을 말의 사료로 알고 사람들이 별로 즐기지 않았으나 현재는 식생활에 중요한 채소이다. 약으로 쓸 때는 생즙을 내어 쓰거나 날로 사용한다.

효능

주로 건강 생활을 위해 많이 쓰인다.

관련질병: 간기능회복, 간염(B형간염), 강장보호, 강정제, 고혈압, 과민성대장증후군, 근시, 기관지염, 냉병, 노이로제(신경증), 당뇨병, 류머티즘, 명목, 발모제, 변비, 부인병, 불임증, 비만증, 빈혈증, 시력감퇴, 신약, 신우신염, 신장기능강화, 신장염, 심장병, 심장판막증, 아토피성피부염(태열), 안신, 안질, 알레르기, 액취증, 야뇨증, 야맹증, 양기부족, 원기부족, 월경불순, 위장염, 이수, 저혈압, 천식, 탈항, 폐결핵, 피로곤비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당근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