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중국민족지

와족의 문학과 예술

요약 테이블
분류 맹고면어족 민족 > 와족

와족의 민간문학은 주제가 광범위 하고 내용이 풍부한데 주로 신화, 전설, 가요, 속담, 동화이야기 등이 있다. 『사강리』는 와족 민간에서 오랜 세월 전해 내려온 신화이다. 신화 속에서는 인류가 동굴(조롱박)에서 나온 후, 동물과 떼를 따라 빈번히 이주하고, 수렵과 유목생활로부터 농업에 종사하고, 모계사회로부터 부계사회로 과도하는 긴 역사과정을 형상적으로 서술했다. 이와 비슷한 창세기원과 자연현상을 해석한 작품으로는 또 『인류의 선조』, 『천지의 변화』, 『만물의 유래』, 『큰 뱀이 물건을 내뱉다』, 『별을 죽이고 고기를 먹을 때(杀星星肉吃的时候)』, 『불』, 『태양, 달, 별』, 『석암과 바람』, 『창란강과 군농강(澜沧江和滚弄江)』 등이 있다.

또 다른 문학작품들은 자연을 알아가고, 자연을 정복하고, 낡은 제도를 비난하고, 통치계급을 풍자하고, 근면하고 타인을 돕는 선한 행동을 찬양하고, 충정하고 절개 있는 사랑을 찬송하고, 외국 침략자를 질타하는 내용을 담았다. 『고아가(孤儿歌)』, 『장공이 왕자를 이기다(长工战胜王子)』, 『마음씨 착한 우형님(好心的牛哥哥)』, 『용왕을 항복시키다(制服老龙王)』, 『애강편의 이야기(埃江片的故事)』, 『달태의 이야기(达太的故事)』, 『고아 애란(孤儿埃然)』, 『애걸가와 애사터(埃杰可和埃萨特)』, 『애가열(埃戛热)』, 『곡식은 금덩이(谷子就是金子)』, 『라인애칸(懒人埃坎)』, 『호랑이와 달팽이』, 『군농강(滚弄江)을 몰래 건너다』, 『영국병사가 달아났다(英国兵逃跑了)』, 『미련하고 아둔한 영국병(愚蠢的英国兵)』 등이 있다.

와족의 민간가요는 언어가 소박하고, 생산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종류에는 노동가, 풍습가, 정가, 생활가, 오락가, 아동가 등이 있다. 서정장시와 서사시는 주로 애정을 소재로 한 것이 많다. 많이 알려진 작품으로는 『아야야목(埃惹惹木)』, 『애인을 그리다(想念情人)』, 『우리는 아름다운 곳으로 향해 전진한다(我们奔向美好的地方)』, 『진심으로 고난을 두려워하지 않는다(真心不畏难)』 등이 있다.

중국 건국 이후, 일부 학자와 민간문학과 예술애호가들은 와족 지역으로 깊게 들어가 대량의 원시 문학자료를 수집하고, 『와족이야기 선집』, 『와족민가 선집』, 『와족장시 선집(佤族长诗选集)』 등을 정리, 출판하여 와족문학이 입으로만 전해 내려오던 역사이야기를 책으로 기록해 주었다.

와족은 노래 부르기와 춤추기를 즐긴다. 와족의 노래와 춤은 혼연일체가 되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와족 악기로는 독현금(独弦琴), 로생(芦笙), 장단피리(长短笛), 위소피리(苇箫笛), 각피리(角笛), 도간피리(稻秆笛), 목고(木鼓), 망(铓), 찰(镲), 발(钹), 동고(铜鼓), 상각고(象脚鼓), 봉통고(蜂桶鼓), 대고(大鼓), 죽현(竹琴) 등이 있다. 와족의 민간춤으로는 목고무(木鼓舞), 표우무(剽牛舞), 수렵무(狩猎舞), 파종무(播种舞), 춘구무(春臼舞), 하신방(贺新房), 죽간무(竹竿舞), 솔발무(甩发舞), 과년무(过年舞), 대각보무(对脚步舞), 반계무(斑鸠舞), 조관무(跳棺舞) 등이 있다. 이러한 춤은 대부분 와족의 종교제사 그리고 생산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와족의 그림은 고풍스럽고, 소박하며, 선이 거칠다. 창원(沧源)현의 맹동(勐董)하 유역의 창원암각화(沧源崖画)는 3,000여 년이라는 오랜 역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원고시대 와족들의 생산생활 상황을 반영했다. 그림에는 인물형상이 많고, 마을, 수렵, 잡기, 오락, 전쟁 등 장면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고, 생산도구, 병기, 새와 짐승, 가축가금 그림들도 있다. 화면은 대부분 반원형, 부채형, 조개껍질모양, 물결무늬 등으로 표현되었다.

와족의 민간공예로는 목조공예, 대나무 공예, 뼈로 만든 조각(角雕), 대나무 넝쿨 편직물, 방직염색(织染) 등이 있다. 이것들은 와족의 민족적 특징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양성민 집필자 소개

회족, 역사학 석사, 민족학 박사, 중앙민족대학 민족학과 사회학학원 교수, 중국민족학회 부회장, 중국세계민족학회 부회장, 민족학과 민족사의 교학과 연구 진행, 『회흘사』(1991), 『자치통감-..펼쳐보기

출처

중국민족지
중국민족지 | 저자양성민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중국을 이루는 56개 소수민족은 각 민족이 자체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천 년 동안 밀접한 문화교류와 문화융합을 이루고 있다. 중국 56개 ..펼쳐보기

전체목차
5. 장면어족 민족 장족 토가족 이족 백족 합니족 율속족 라후족 납서족 강족 경파족 아창족 보미족 노족 기낙족 문파족 두룽족 로파족
11. 미식별 민족 소개 하이파인 극목인 등인 백마인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와족의 문학과 예술중국민족지, 양성민,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