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중국민족지

위구르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요약 테이블
분류 돌궐어족 민족 > 위구르족

종교 신앙

역사적으로 위구르족은 여러 종교를 믿어왔다. 8세기 중엽 이전 위구르족의 선조 회흘인은 악이혼하 유역에서 유목할 때 주로 샤머니즘을 신앙하였다. 8세기 중엽 이후의 회홀한국 시기에는 마니교로 바뀌었는데, 이 종교는 처음에는 배척을 당하다가 나중에는 국교가 되었다. 9세기 중엽 서천 이후 회홀인의 종교는 비교적 복잡한데, 막북에서 온 마니교, 서한 시기부터 서역에 흥했던 불교, 그리고 경교와 오교가 있었다. 그중에서 불교의 영향력이 가장 컸는데, 특히 동부 회홀 가운데서 오랫동안 성행하였다. 10세기에는 이슬람교가 중앙아시아로부터 신강의 서부 카스 등 지역의 회홀인 가운데로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이슬람교는 점차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빠르게 전파되었고, 16세기 초에 이르러 이슬람교는 서역에서 불교의 지위를 대체하였으며 위구르족은 전 민족이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민족이 되었다.

예배사에서 기도하는 위구르족들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슬람교는 7세기 전기에 아랍반도에서 생겨나 8세기 이후 점차 중앙아시아 초원의 일부 돌궐어계의 부락 주민들에게 전파되었다. 10세기 중엽, 총령서회홀 카랍한 왕조의 사토극 · 포격랍한(沙土克 · 布格拉汗, ?~955년)이 가장 처음 신민들을 이끌고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955년 사토극 · 포격랍한이 죽자 그의 아들 목살 · 아이사란(穆萨 · 阿尔斯兰)이 이슬람교를 계승하였고 재위기간 동안 이슬람교를 크게 지지하였다. 960년 카랍한조 내의 20만 명의 돌궐어를 사용하는 유목민들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같은 해, 목살 · 아이사란은 이슬람교를 국교로 정하고 신강 역사상 처음으로 이슬람왕조의 역사를 시작하였다. 카랍한조 시기는 이슬람교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온 시기로, 왕조의 통치자는 통치지역에서 강압적으로 이슬람교를 보급하여 모두가 이슬람교를 믿도록 하였다.

10세기 후기, 카랍한조는 여러 차례 불교가 통치지위를 차지하는 여전(오늘날의 화전지구)과 갈등을 빚었는데 11세기에 이 지역을 정복하고 이슬람교를 전파하였다. 13세기 초에 이르러 이슬람교는 신강의 카스를 중심으로 무슬림은 아도스(阿图什), 영길사이, 엽성, 사차, 여전, 차말(且末), 파초 일대에 골고루 퍼졌으며 천산이북의 유목지대로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14세기 초, 몽골동찰합대한국이 건립되면서 이슬람교의 신강에서의 전파는 또 한 차례의 절정을 이루었다. 동찰압대한국의 창시인 독흑로 · 첩목아(秃黑鲁 · 帖木儿, 1343~1363년)는 공개적으로 이슬람교에 귀의하여 처음으로 이슬람교를 신앙하는 몽골칸이 되었다. 이어서 16만 명의 몽골인이 이슬람교를 신앙하게 되었다. 독흑로 · 첩목아가 죽은 뒤, 그의 아들 흑적아화탁(黑的儿火卓) 및 그 후예들은 평화전교, 무력전교 그리고 정권역량으로 사람들을 강요하여 신앙하게 하는 등 이슬람교의 신강에서의 전파가 새로운 절정에 이르게 하였다.

동찰합대한국 시기에 이슬람교는 계속하여 천산 남록 동부의 고차, 투루판, 하미로 확장되었다. 고차와 투루판은 모두 이슬람교의 중심지로서, 불교와 이슬람교의 반복되는 겨룸을 거쳐 15세기 후기 이슬람교는 고차, 투루판에서 통치적인 지위를 획득하였다. 16세기, 이슬람교 세력이 하미에 들어왔고, 하미왕족과 민중들은 이슬람교를 신앙하게 되었다. 16세기, 즉 명나라 중엽에 이르러 이슬람교는 신강에서 통치지위에 있으면서 위구르족의 사회생활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었다.

위구르족 이맘(이슬람교 교단 조직의 지도자)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배사(礼拜寺)는 위구르족 무슬림 종교활동의 중심이다. 위구르족이 집거하는 남강 지구에는 도처에 크고 작은 예배사가 있는데, 규모와 성격에 따라 주민예배사, 행인예배사, 주마[住麻, 즉 금요일 ‘집례(聚礼)’일]예배사 세 가지가 있다. 예배사 내에는 부동한 수의 전문직 종교인원이 있어 예배를 주관하고 규율을 집행한다. ‘마찰(麻扎)’은 이슬람 종교인사의 무덤이자 위구르족 무슬림 종교활동의 중요 장소로서 남강 도시와 농촌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비교적 큰 마찰에는 예배사와 경문학교가 부설되어 있다. 마찰을 참배하는 것은 농촌교도들의 빼놓을 수 없는 종교활동으로, 어떤 때에는 마찰을 하는 교도들이 수만 명에 달한다.

중국이 성립되기 이전, 예배사와 마찰은 모두 서로 다른 수의 토지, 삼림, 가옥, 점포, 가축, 목장 등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주로 종교세수와 무슬림 헌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큰 청진사는 일반적으로 모두 종교학교를 부설하였는데, 그 주요 임무의 하나는 종교지식을 보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각급 종교 직업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신강 지역의 애제가이(艾提尕尔) 청진대사, 고차가만(加曼) 청진사 등은 위구르족 무슬림 종교활동의 중요 장소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중요한 보호 문화재 이기도 하다.

생활풍습

위구르족의 전통복식은 아주 화려하다.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짧은 속옷과 긴 바지를 입고 그 위에 비스듬한 옷깃에 단추가 없고 소매가 넓은, 무릎을 넘는 긴 도포를 입는데, 겹번(袷袢)이라 부른다. 종교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폭이 좁고 긴 천으로 된 허리띠를 매고 머리에는 ‘타파(朵帕)’라 부르는 사각의 작은 꽃모자를 쓴다. 겨울에는 원형 가죽 모자를 쓰고 가죽 부츠나 털신을 신는다. 여성들은 화려한 색상의 원피스를 자주 입으며, 밖에는 조끼를 입고 긴 가죽 부츠를 신는다. 그리고 머리에는 작고 정교한 자수모자를 쓰거나 스카프를 두른다. 남강에서 여성들은 외출 시에 모자 외에도 흰 두건이나 갈색 면사를 써야 한다. 장식에 있어서 여성들은 귀걸이, 팔찌, 목걸이를 거는 것을 좋아하고, 눈썹을 그리고, 매니큐어를 하고, 긴 변발을 하는 것을 좋아하며, 머리 뒤에 초승달 모양의 빗을 꽂아 장식한다. 오늘날 도시의 남성들은 양복과 가죽 구두를, 여성들은 양복치마를 많이 입는다.

위구르족은 면식을 주식으로 하며 쌀과 옥수수, 양고기와 소고기를 즐긴다. 자주 먹는 음식은 낭구이, 찐빵구이, 라면, 면조각, 양고기를 섞은 밥 등이다. 낭은 밀가루나 옥수수가루로 만든 떡으로 특제된 낭 가마 속에서 만들어지며 저장 기간이 길다. 양고기를 섞은 밥은 위구르어로 ‘파라(颇罗)’라 부르는데, 쌀, 양고기, 양기름, 식용유, 당근 등으로 지은 밥으로 맛이 좋아 손님에게 대접하거나 명절음식으로 쓰인다. 찐빵구이는 위구르어로 ‘사목사(撒木萨)’라 부르는데, 밀가루로 껍질을 만들고, 잘게 썬 양고기, 양기름과 소량의 양파를 섞어서 속을 만든다. 껍질은 얇고 속이 많아 기름기가 많고 향이 좋다. 면은 라면, 비빔면, 볶음면, 탕면 등이 있다. 유명한 요리로는 통양구이, 양고기백숙, 양꼬치구이 등이 있다.

위구르족은 차를 좋아하는데, 일반적으로 차에 우유나 양유를 넣어 밀크티를 만든다. 아침에는 낭을 먹고 차를 마시며, 점심에는 각종 주식과 볶음요리를 먹고, 저녁에는 또 낭을 먹고 차를 마신다. 밥을 먹을 때에는 ‘밥단(饭单)’을 펴고 가족 모두가 바닥에 앉는다. 밥을 먹기 전과 후에는 꼭 손을 씻는데 손은 세 번만 문지른다. 양고기를 섞은 밥을 먹을 때에는 손톱을 깎아야 하고, 낭을 먹을 때에는 낭의 가운데를 접어서 접시에 올려놓아야 한다. 만약 손님이 오면 손님을 윗자리에 앉게 한다. 밥을 먹은 뒤에는 연장자를 따라 ‘도와(都瓦)’를 하고, 주인이 설거지를 끝낸 후에 손님은 자리를 뜰 수 있다.

위구르족 민가 건축은 건축형식과 재료사용 등의 측면에서 모두 특색이 있다. 주택은 일반적으로 정원과 주택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정원을 마주한 거실 앞에는 대개 복도를 만들고 아래쪽 방의 바깥 복도에는 여러 개의 온돌을 만들어 밖에 앉아 있을 수 있게 하였다. 바깥 복도를 따라 가면서 정원 내에는 포도넝쿨이 있어 여름철 더위를 피할 수 있게 하였고, 2층의 바깥 복도에는 여러 갈래의 통로를 만들었다. 옥상 주변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휴식실이나 잡동사니를 쌓아놓는 데에 쓰인다. 주택은 일반적으로 토목 구조로 되어 있고, 거실 내 바닥에는 벽돌이나 널빤지를 깔며 실내에 온돌이 있다. 온돌 위에는 담요나 융단을 깐다. 실내의 안벽 벽면에는 벽난로를 설치하여 겨울에 장작을 피워 난방을 한다. 안벽 벽면에는 큰 벽감을 설치하여 기구, 식품, 잡물 등을 넣는다.

기후 조건의 차이로 인해 재료와 장식 상에는 차이가 있다. 북강 지역은 춥고 비가 많이 내리므로, 건물에는 소량의 기와와 벽돌을 쓰며, 지붕이 약간 경사져 있다. 이리, 탑성 등 지역의 위구르족 주택은 대부분이 평평한 지붕이고 벽돌과 나무로 지어졌으며, 정원 내에 사과나무와 화초가 많다. 주택은 과일나무와 화초로 인해 녹음이 우거지고 쾌적하다. 남강은 온난하고 건조하며 여름에는 무덥고 비가 적으므로 위구르족 주택은 지붕꼭대기에만 소량의 목재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네 벽을 모두 흙을 발라 짓고, 옥상이 비교적 평평하여 건조대로 쓸 수가 있고 지붕창을 열어둔다. 어전(于田) 지역의 주택의 정원 위에는 모두 지붕이 있고 지붕의 네 면에 목령화(木棂花) 형태의 측면창을 내어 통풍과 채광을 한다.

주택은 ‘전실-후실’의 형식을 많이 취한다. 투루판 위구르족 주택은 당지의 여름이 무덥고 비가 적고 기후가 건조하고 토질이 좋은 특징으로 인해, 지하실과 반지하실의 평평한 지붕의 양식이 많다. 위구르 농촌은 각 호가 제각기 주택과 정원을 가지고 있고 대문은 서쪽을 향하여 내는 것을 기피한다. 사람들은 정원 내에 과일나무, 나무와 화초를 심는다. 위구르족은 방 안에 탁자나 의자, 침대를 놓지 않으며 바닥에 융단을 깔고 그 위에 앉거나 누워 지낸다. 어떤 집에는 흙온돌이 있는데 약 한 치 높이로 되어 있고, 속이 채워져 있으며 불을 지피지 않는다. 겨울철 난방은 벽난로로 한다.

투루판에 위치한 위구르족 마을

ⓒ 한국학술정보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80년대 이래, 위구르족 지구의 경제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주택건축도 변화하고 있다. 부유해진 위구르인의 주택은 정원이 크고 넓으며 웅장하고 화려하며 거실, 복도 등이 모두 갖추어져 있다.

가정, 혼인과 상 · 장례 풍습

위구르족의 가정조직은 부부관계를 기초로 하는 소가정제로서, 가족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부자(父子)와 조손 삼대를 포함한 직계친속이다. 다자녀가정은 아들이 성장하여 혼인한 이후 모두 부모로부터 분가하지만 통상적으로 작은 아들은 부모 곁에 있으면서 부모를 모시고 장례를 치른다. 독자는 일반적으로 분가를 하지 않는다.

가정에서 친족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삼대 직계 혈친 범위에만 국한된다. 예를 들어 부친은 ‘대대(大大)’, 조부는 ‘군대대(群大大)’, 모친은 ‘아나(阿娜)’, 조모는 ‘군아나(群阿娜)’, 오빠나 형은 ‘아카(阿喀)’, 남동생은 ‘오카(乌喀)’, 언니나 누나는 ‘아합(阿恰)’, 여동생은 ‘삼액이(森额尔)’이라 부른다. 이 외에 기타 친속들도 명확한 호칭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하지 않고 연령에 따라 부, 모, 형, 제, 자, 매로 구분하여 부른다. 위구르족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본명에 부친의 이름을 붙여서 이루어진다. 본명은 앞에, 아버지의 이름은 뒤에 온다. 예를 들어 오사만 · 토이손(乌斯满 · 吐尔逊), 오사만은 본명이고 토이손은 부명이다. 남성의 이름 뒤에는 일반적으로 아홍(阿洪)을 붙이는데, 오사만아홍(乌斯满阿洪)과 같은 식이다. 여성이름은 본명 뒤에 ‘한(汗)’을 많이 붙이는데, 아의목한(阿依木汗)과 같은 식이다.

중국이 성립되기 이전 위구르족의 가정에서는 부친과 남편이 가장으로서 집에서 절대적인 지배권을 가졌다. 여성은 남성의 명령에 따라야만 했으며 가정에서 남녀의 지위는 불평등했다. 여성은 밖에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면사를 두르고 두건을 써야 하며 성인남성을 피해야 하고 언어와 행동은 종교 규범의 간섭을 받았다. 또한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가 없고 가정의 재산에 대해 묻거나 처리하는 데에 간섭할 권리가 없었다. 부권(父权), 부권(夫权) 그리고 종교상의 여러 제한은 여성들에게 극심한 고통을 가져다주었다. 중국이 성립된 이후, 사회경제 기초와 계급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여성들도 남성들과 평등한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위구르족의 혼인은 이슬람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중국이 성립되기 이전에 위구르족 여성들은 비무슬림 남성과 통혼할 수 없고, 조혼 경향이 심했으며, 남성은 다처(多妻)가 가능했다. 특히 부유한 남성들의 다처 양상이 더욱 심했으며 어떤 남성들은 두세 명 심지어 네 명의 처가 있기도 하였다. 또한 혼인관계가 불안정한데, 남성은 언제든 처를 버릴 권리가 있었다. 그리고 매매혼이 보편화되어 있었는데 전통적인 관습에 따라 혼인의 범위는 같은 아버지나 같은 어머니의 친자식인 경우를 제외하고 기타 친속 범위에서는 모두 통혼할 수 있었다.

중국이 성립된 이후, 중국공산당의 종교 신앙 자유 정책과 혼인법에 의해 낡고 불합리한 봉건적인 혼인제도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위구르족 청년 남녀의 혼인 자유의 권리는 보장되었고 감정에 기초한 혼인이 점점 증가하였다. 결혼, 이혼, 복혼 등은 모두 법률 규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위구르족의 결혼 과정은 주로 소개, 약혼, 결혼 세 단계로 나뉜다. 결혼의식은 전통풍습에 따라 이틀에 걸쳐 치러진다. 현재는 대부분 하루 안에 신부를 집에 데려간다. 혼례 전날, 신랑 측은 반드시 준비한 예물을 신부 집에 보내야 하는데, 거기에는 한 마리의 살아 있는 양, 쌀, 기름, 당근, 낭, 차잎, 설탕, 소금, 장작 또는 석탄 등이 포함된다. 혼례 당일 신랑은 신랑 들러리와 함께 탬버린을 두드리고 소르나이를 부르며 신부 집에 간다.

결혼의식은 신부 집에서 행해진다. 때가 되면 손님들은 남좌여우로 나누어 서고 아굉이 경을 읽고 나서 신혼부부에게 결합을 원하는지를 묻는다. 동의한다고 대답한 뒤, 아굉은 두 개의 낭에 소금물을 묻혀 진귀한 선물의 의미로 신랑과 신부에게 하나씩 나누어준다. 신랑, 신부는 이 선물을 받자마자 그 자리에서 먹음으로써 이 순간부터 고락을 같이하고 백년해로할 것을 표한다. 이때 자리에 있던 친척과 친구, 손님들은 일제히 신랑 신부의 혼인을 축원하면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춘다. 춤이 끝난 뒤, 손님들은 식사하면서 즐겁게 이야기를 나눈다. 오후가 되면 신부는 예복을 입고 머리에 면사를 쓰고 한 무리의 처녀들에게 둘러싸여 집 문을 나서 신랑과 함께 차를 타고 집에 간다. 때가 되면, 신랑의 집 앞에는 귀신을 쫓고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신화(神火)’를 지피고, 신혼부부는 불을 에워싸고 한 바퀴 돈 후에야 새집에 들어간다. 이어서 혼례의 가장 열렬하고 즐거운 순간, ‘너울을 벗기는 의식’이 진행된다.

결혼 이튿날 아침, 신부는 들러리와 함께 시부모의 방에 가서 인사를 올리고 신랑도 들러리와 함께 장인장모의 집에 가서 인사를 올린다. 오늘날 위구르족 혼례에는 많은 새로운 의례들이 생겨났지만, 민족의 풍습은 여전히 남아 있다.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감에 따라 혼례는 예전에 비해 더 떠들썩하고 성대하며 연회와 가무가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한다.

위구르족의 장례의식은 일반적으로 이슬람교의 규율에 따라 진행되는데, 토장, 속장이 성행하고, 기본적인 의식은 회족과 비슷하다. 통상적으로 사람이 죽으면 친척과 친구들이 모두 장례에 참석한다. 죽은 사람의 가족들은 장례에 참석한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어 감사의 뜻을 표해야 한다. 영구를 묘지로 보내는 사람들은 모두 남성으로, 여성은 묘지에 갈 수 없다. 죽은 사람의 처와 딸은 흰 면사포를 쓰고 멀리 떨어진 곳이나 집에서 울 수밖에 없다. 사람이 죽은 뒤 3, 7, 24, 40일과 1주년에 가족들은 아굉을 청하여 경을 읽게 하며 양고기를 섞은 밥으로 친척과 친구들을 대접하는데, 이를 ‘내자이(乃孜尔)’라 한다. 이 외에 명절이나 기념일 때마다 가족들은 묘지에 가거나 집에서 죽은 사람을 위해 경을 읽고 기도를 하면서 기리고 추억한다.

명절, 의례, 금기 풍습

위구르족의 전통명절은 대개 이슬람교와 관련되어 있는데, 주로 육자절[肉孜节, 또는 개재절(开斋节)], 고이반절[库尔班节, 또는 고이방절(古尔邦节)]이 있다. 명절기간에 위구르족 무슬림은 예배사에 모여 성대한 예배를 하고 명절활동을 전개한다. 집집마다 풍성한 명절음식을 준비하고, 사람들은 목욕을 하고 화려하고 정중한 차림을 하며, 서로의 집에 방문하여 명절을 축하한다. 고이반절 때에는 집집마다 소나 양을 잡는데 그 떠들썩한 분위기는 육자절을 넘어선다.

위구르족은 성탄절에 경서를 읽고 성스러움을 찬양하며 모여서 식사를 하며 성탄절을 축하한다. 이 외에, 위구르족 지역에는 도와절(都瓦节), 파랍제절(巴拉提节) 등이 있다. 도와절은 귀와 혼을 제도하는 명절이다. 파랍제절은 속칭 ‘유호리(油葫芦)절’인데, 금식하기 보름 전에 거행된다. 파랍제절이 되면 집집마다 유호리를 켜 마을 전체가 등불로 가득하고, 종교인사는 밤을 새워 경을 읽는다.

위구르족은 의례를 매우 중요시하는 민족이다. 친척과 친구들끼리 만나면 꼭 인사를 나누는데, 그 방식은 먼저 악수하고 서로에게 ‘앗살라무’로 인사하고 나서, 오른손을 가슴에 대거나 두 손으로 수염을 만지고(수염이 없어도 이 동작을 해야 한다), 몸을 굽히면서 뒤로 한 발짝 물러서 다시 상대방의 가족의 평안에 대해 묻는다. 여성이 인사할 때에는 두 손으로 무릎을 잡고, 몸을 굽히면서 뒤로 물러서 인사하고 작별하는 것을 표한다. 그리고 그들은 어른을 아주 존경하는데, 길을 걸을 때에는 윗사람이 먼저 걷게 하고 말을 할 때에도 윗사람이 먼저 하게 하며 자리에 앉을 때에도 윗사람이 먼저 앉도록 한다.

위구르족은 열정적이고 손님 접대를 좋아하며 예절을 중시한다. 무릇 손님이라면 친근하든 소원하든, 가깝든 멀든 집에 들어서면 윗자리에 앉게 하고 후하게 접대한다.

위구르족의 금기는 일상생활의 각 방면에서 나타나며 비교적 엄격한데, 이는 그들의 풍습과 종교상의 특징을 보여준다.

또한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아 돼지고기, 피와 저절로 죽은 동물을 먹지 않고, 아굉이 경을 읽지 않은 상황에서 죽인 짐승이나 가축은 먹을 수 없다. 낭을 먹을 때에는 낭을 작은 조각으로 찢어서 먹어야 하며, 통째로 들고 뜯어 먹는 것을 기피한다. 밥을 먹기 전과 후, 주인은 손님에게 손을 씻도록 요구한다. 손을 씻은 후에는 수건으로 닦아야 하며 손에 있는 물기를 흔들어 떨어뜨리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음식을 넣은 상자나 보따리, 소금을 넣은 자루 및 취사도구 위에 앉는 것도 기피한다. 복식 방면에서는 짧거나 작은 옷을 입지 못하며 반바지를 입고 밖에 나가지 못한다. 실외활동을 하거나 손님의 집에 갈 때에는 남성들은 모자를 써야 하고 여성들은 모자를 쓰거나 두건을 써야 한다. 머리를 전부 밖에 드러내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주택의 대문은 일반적으로 서쪽을 향해 내지 않는데, 이는 중국의 무슬림들이 예배할 때에는 모두 서쪽의 메카를 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이 지형의 한계로 어쩔 수 없이 서쪽을 향해 문을 내야 할 때에는 예외이다. 이런 금기는 북강에서는 그리 엄격하지 않다.

위구르족은 집안의 온돌에 앉을 때에는 두 다리를 뻗어 발바닥이 다른 사람을 향하는 것을 금지한다. 물품을 받거나 손님에게 차를 권할 때에는 두 손으로 해야 하고, 한 손으로 물건을 받거나 주는 것은 예절이 부족한 것으로 간주된다. 밥을 먹거나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할 때에는 침을 뱉고 코를 후비고 귀를 후비고 손톱을 깎고 가려운 데를 긁는 행동을 극히 기피한다. 다른 사람이 경을 읽거나 기도를 할 때에는 큰 소리로 떠들지 않고, 예배를 하는 사람 앞으로는 걸어 다니지 않으며, 예배 시 꿇어앉는 융단을 밟지 않는다. 예배를 하는 방에는, 특히 서쪽 벽에는 인물초상을 걸지 않는다. 대마를 피우고, 도박하고, 주정을 부리고, 싸우고, 거짓말을 하고, 간음을 하고, 타인을 해칠 흉계를 꾸미고, 부당한 이득을 차지하는 등은 모두 추악한 행위로 간주되며 여론의 질책을 받는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양성민 집필자 소개

회족, 역사학 석사, 민족학 박사, 중앙민족대학 민족학과 사회학학원 교수, 중국민족학회 부회장, 중국세계민족학회 부회장, 민족학과 민족사의 교학과 연구 진행, 『회흘사』(1991), 『자치통감-..펼쳐보기

출처

중국민족지
중국민족지 | 저자양성민 | cp명한국학술정보 도서 소개

중국을 이루는 56개 소수민족은 각 민족이 자체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몇천 년 동안 밀접한 문화교류와 문화융합을 이루고 있다. 중국 56개 ..펼쳐보기

전체목차
5. 장면어족 민족 장족 토가족 이족 백족 합니족 율속족 라후족 납서족 강족 경파족 아창족 보미족 노족 기낙족 문파족 두룽족 로파족
11. 미식별 민족 소개 하이파인 극목인 등인 백마인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위구르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중국민족지, 양성민, 한국학술정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