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문무대왕함

다른 표기 언어 ROKS Munmu the Great , 文武大王艦 동의어 DDH-976 문무대왕, 대한민국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2번함

요약 한국 해군이 운용하는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2번함

개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한국형 구축함의 하나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2번함에 해당한다. 정식 명칭은 'DDH-976 문무대왕’이다. 문무대왕함이란 이름은 신라 제30대 왕이었던 문무왕의 이름을 딴 것이다. 문무왕은 죽기 전, '자신의 시신을 화장하여 바다에 뿌리면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고 말했다는 전설이 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한국형 구축함 건조사업 2단계(KDX-II)에 따라 건조된 구축함을 말한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대조영함, 왕건함, 강감찬함, 최영함까지 총 6척이 순차적으로 취역하였다. 2번함인 문무대왕함은 2003년 4월 진수되어 2004년 9월 취역하였다.

2006년 환태평양 합동 연습(RIMPAC)에 참가한 문무대왕함

ⓒ U.S. Navy photo by Mass Communication Specialist 2nd Class Rebecca J. Moat | Public Domain

특징

문무대왕함을 포함한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의 가장 큰 특징은 함대방공각주1) 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다층 방공망(다단계 방공망)을 갖추고 있어 적의 전투기나 대함 미사일로부터 함대를 방어할 수 있다. 다층 방공망은 여러 개의 미사일과 근접방어무기체계(CIWS)각주2) 를 중첩하는 방식의 방공망이다. 사정거리가 다른 미사일과 무기체계를 함께 사용하므로 적의 전투기나 대함 미사일의 요격 확률을 높인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에는 레이더 탐지를 막는 스텔스 설계도 적용되었다. 광개토대왕급 구축함보다 규모가 커지면서 탑승인원도 늘었다. 문무대왕함의 크기는 길이 150m, 폭 17.4m, 깊이 7.3m 정도다. 약 300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배수량은 4,400t, 최대 속도는 약 29노트(knot)다.

한국형 구축함 건조 사업

해군의 한국형 구축함 사업(KDX, Korean Destroyer Experimental)은 총 3단계로 추진되었다. 1단계(KDX-I)에서는 3,200t급 한국형 구축함을 건조했으며 2단계(KDX-II)로는 대양작전능력을 보유한 구축함을 건조했다. 규모도 4,500t급으로 커졌으며 무기체계와 스텔스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3단계(KDX-III) 사업으로는 이지스 전투체계를 갖춘 구축함이 건조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문무대왕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