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청단백질

다른 표기 언어 whey proteins , 乳淸蛋白質

요약 동물의 젖 속에 들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 유즙단백질 가운데 산의 작용으로 치즈의 형태로 농축되는 카세인 성분을 제외한 단백질들이다. 우유에는 카세인이 약 77%, 유청단백질이 약 23% 포함되어 있으며, 유청단백질에는 알부민·a-락트알부민·글로불린·β-락토글로불린 등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기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있다.

유청단백질

정제된 유청단백질 제재

ⓒ 위키미디어 커먼스 | CC BY-NC-SA

인간이나 동물의 젖 속에 들어 있는 수용성 단백질. 유즙단백질에서 산에 의해 농축되는 카세인을 제외한 단백질들을 말한다. 유청(whey)은 주로 치즈로 생산되는 농축물인 커드를 제외한 나머지 수용성 부분을 총칭해서 이르는 말로 다양한 유효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우유에 들어 있는 유즙단백질에는 카세인이 약 77%, 유청단백질이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유청단백질은 폭 넓은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유청단백질에는 알부민·a-락트알부민·글로불린·β-락토글로불린 등이 있어 면역기능을 활성화하며, 필수아미노산의 좋은 공급원이다. 다만 일부 성분이 영유아의 알레르기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유재민, 렌친핸드, 정석근, 백승희, 남명수 (2013). Alcalase에 의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원성 저감 효과.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0(4), 359-365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청단백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