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야생화 백과
사전 : 여
름편

쑥부쟁이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권영초, 쑥부장이
요약 테이블
분류 국화과
서식지 반그늘 혹은 양지
꽃색 설상화는 자주색, 통상화는 노란색
크기 키는 약 35~50㎝ 정도
학명 Aster yomena (Kitam.) Honda
용도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분포지역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시베리아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7~8월
결실기 9~10월경
인용문
여름부터 가을까지 정겨운 꽃

가을이 다가오면 비슷하게 보이는 꽃이 많이 피는데, 쑥부쟁이와 구절초가 대표적이다. 구절초는 쑥부쟁이보다 꽃과 꽃잎이 크고 흰빛이다. 쑥부쟁이는 꽃잎 사이가 촘촘한데 구절초는 약간 틈이 있는 점도 다르다. 흰색은 구절초, 자주색은 쑥부쟁이로 알아두면 편리하다.

쑥부쟁이는 어느 곳에서나 쉽게 볼 수 있어서 아주 정겨운 야생화이기도 하다. 꽃은 국화나 장미처럼 화려하지 않고 그저 수수하기만 하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자라며, 키는 35~50㎝ 정도이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며, 원줄기가 처음 나올 때는 붉은빛이 돌지만 점차 녹색 바탕에 자줏빛을 띤다.

잎은 길이가 5~6㎝, 폭이 2.5~3.5㎝로 타원형이다. 잎자루가 길고 잎 끝에는 큰 톱니와 털이 있으며 처음 올라온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죽는다. 잎의 겉면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7~8월에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여러 송이의 꽃이 달린다. 설상화는 자줏빛이지만 통상화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고 종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갓털이 달리며 길이는 약 0.3㎝이다.

국화과에 속하며 권영초, 왜쑥부쟁이, 쑥부장이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으로 쓰이는데,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기름에 볶아 먹기도 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쑥부쟁이 압화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쑥부쟁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쑥부쟁이

시드는 모습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쑥부쟁이

종자 결실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쑥부쟁이

무리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쑥부쟁이(백색:색변이)

무리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직접 가꾸기

쑥부쟁이는 이른 봄에 심은 것을 캐어 여러 개로 나누어 올라오는 새순에 뿌리가 붙어 있는 개체를 화단에 옮겨 심으면 번식시킬 수 있다. 종자는 받아 바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린다. 뿌리지 못한 종자는 보관했다가 이른 봄에 뿌리면 되는데, 이렇게 올라온 새싹이 그해에 꽃을 피우는 비율은 50% 정도로 낮다. 물 빠짐이 좋은 화단이면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다. 화분에 키울 때는 유기질이 많이 들어 있는 퇴비를 사용하면 꽃을 많이 볼 수 있다. 물은 초여름에는 1~2일 간격으로 주고 다른 계절에는 3~4일 간격으로 주면 된다.

가까운 식물들

가는쑥부쟁이 : 쑥부쟁이에 비해 잎이 가늘고 톱니가 없다. 키는 60㎝이며, 여름에 자주색 꽃이 핀다.

가새쑥부쟁이 : 들판의 습한 곳에서 자라며, 키는 60㎝이다.

개쑥부쟁이 : 관모는 희거나 붉은데, 관상화의 관모는 짧고 설상화는 길다.

개쑥부쟁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큰개쑥부쟁이 : 잎은 어긋나며 피침 모양이다. 거문도에 분포하며 키는 30~80㎝이다.

눈개쑥부쟁이 :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옆으로 누워 자라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한라산에 자라며 키는 15~25㎝이다.

갯쑥부쟁이 : 바닷가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며, 키는 30~100㎝이다.

갯쑥부쟁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까실쑥부쟁이 : 꽃이 까칠까칠한 느낌으로 곰의수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키는 약 1m이다.

까실쑥부쟁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민쑥부쟁이 : 쑥부쟁이와 비슷하나 잎이 밋밋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윗부분에 자줏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키는 60~80㎝이다.

단양쑥부쟁이 : 두해살이풀로 첫 해엔 15㎝, 둘째 해에는 30~50㎝로 자란다. 충북 단양 등에 분포하는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다.

미국쑥부쟁이 : 줄기의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거칠거칠하고 털이 많이 나며, 줄기는 활처럼 휘어진다. 아메리카 원산이다.

미국쑥부쟁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섬쑥부쟁이 : 꽃은 8~10월에 피고 백색이며 지름은 1.5㎝이다. 울릉도에 분포하는데, 현지에서는 부지깽이나물이라고 부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정연옥 집필자 소개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g..펼쳐보기

오장근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펼쳐보기

신영준 집필자 소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펼쳐보기

출처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 저자정연옥 | cp명가람누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8..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쑥부쟁이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정연옥, 가람누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