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분류 콩과
서식지 모래가 많아 물이 잘 빠지는 곳, 햇볕을 많이 받는 곳
꽃색 붉은 자주색
크기 키는 약 20~60㎝ 정도
학명 Lathyrus japonicus Willd.
용도 어리고 연한 순은 약재, 전체는 방사림
분포지역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강원, 경기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5~6월
결실기 8~9월
인용문
해안가에 나비처럼 피는

갯완두는 완두와 비슷하다. 꽃이 특히 닮아서 나비처럼 아름다운데, 그런 종류들을 흔히 접형화관이라고 한다. 푸른 바다와 모래사장을 배경으로 자주색 꽃이 군락을 이룬 모습은 아주 아름답다.

해안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모래가 많아 물이 잘 빠지는 곳, 햇볕을 많이 받는 곳에서 자라며, 키는 20~60㎝이다. 땅속줄기가 잘 발달해 있고, 모가 나 있는 땅위줄기가 비스듬히 누워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완두는 덩굴손으로 다른 것을 감고 올라가 자라지만 갯완두는 그럴 필요가 없다. 다른 식물과 큰 경쟁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햇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갯완두 분포지역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6쌍의 작은 잎이 어긋나게 달리는데 잎 모양은 달걀처럼 생겼으며, 크기는 길이가 1.5~3㎝, 폭은 1~2㎝이다. 잎에서 덩굴손이 나와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는데, 일반적으로는 갈라지지 않지만 2~3갈래로 덩굴손이 갈라지는 것도 있다.

5~6월에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는데, 긴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한쪽으로 치우치며 달린다. 8~9월에 길이 약 5㎝, 폭 약 1㎝의 긴 타원형 열매가 달린다. 마치 완두콩 꼬투리와도 비슷한데 안에는 5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 있다. 완두콩은 먹지만 이 열매는 먹지는 않고, 단지 약재로 사용한다.

콩과에 속하며 개완두, 일본향완두라고도 한다. 어리고 연한 순을 약재로 사용하며, 전체는 방사림으로도 이용된다. 방사림이란 해변에서 민가로 바람에 모래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식물을 말한다. 제주, 전남, 전북, 경남, 충남, 강원, 경기의 해안가에 분포한다.

갯완두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완두

꽃봉오리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완두

꽃 피기 전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완두

꽃(정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완두

꽃(측면)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갯완두

종자 결실

ⓒ 가람누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직접 가꾸기

갯완두는 9월경에 달린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종이에 싸서 상온에 보관한 후 이듬해 이른 봄에 뿌리면 싹이 난다. 발아율이 높은 편이며 옆으로 뻗어가는 식물이기 때문에 다른 식물과는 함께 심지 않는 것이 좋다. 갯가에 자생하지만 육지에서도 키울 수 있다.

가까운 식물들

반들갯완두 : 갯완두에 비하여 꽃받침에 털이 있으며 열매가 약간 빛이 난다. 거문도와 동래에 분포한다.

완두 : 키는 2m 정도이고 잎은 겹잎이며 잎 끝은 덩굴손으로 되어 지주를 감아 올라가면서 자란다. 멘델이 유전을 실험한 식물로 유명하다.

나래완두 : 완두와 비슷하나 덩굴손이 없다. 들이나 숲에 자란다.

들완두 : 전체에 털이 없고 키는 30㎝ 정도이며, 산기슭에 자란다.

벌완두 : 산지의 양지에서 자라고 키는 86~150㎝이다.

별완두 : 산지에서 자라며, 키는 약 150㎝이다. 어릴 때는 잔털이 나지만 나중에 없어진다.

붉은완두 : 씨가 네모나며 불그스름하다. 유럽 원산이다.

새완두 : 줄기는 잔털이 약간 있고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키가 30~60㎝이다. 5~6월에 흰빛을 띤 자주색 꽃이 핀다.

얼치기완두 :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므로 얼치기완두라고 한다. 덩굴성이며 키는 30~60㎝이다.

애기완두 : 키는 30㎝로 작은 편이며, 북한의 산지에서 자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정연옥 집필자 소개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야생화연구소 소장(원우바이오텍)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야생화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약용작물 재배와 이용&g..펼쳐보기

오장근 집필자 소개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부장. (사)한국생태학회 부회장. (사)한국환경생태학회 이사. 한국보전생물학회와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목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이학박사. 저서로는 〈야생화백과사전-봄편..펼쳐보기

신영준 집필자 소개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경인교육대학교 융합인재교육(STEAM) 센터 소장.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 박사. 한국생물과학협회 이사. 저서로는 〈야생..펼쳐보기

출처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 저자정연옥 | cp명가람누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산을 다니면서 새순이 올라오는 모습, 초본 식물의 군락지 모습, 꽃봉오리 상태, 꽃의 모습, 종자 결실되는 모습과 식물의 압화 등 다양한 식물의 한살이를 담아 총 28..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갯완두야생화 백과사전 : 여름편, 정연옥, 가람누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