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
식정보...

다른 표기 언어 Chinese yam 동의어 산우, 山芋, 서여, 薯蕷
요약 테이블
분류 백합목 > 마과 > 마속
꽃색 백색
학명 Dioscorea batatas Decne.
개화기 6월, 7월

분포지역

한국(제주), 중국, 일본, 대만

형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이다.

크기

길이 1m 이상.

대개 자주색을 띤 잎은 단엽으로 마주나기 또는 돌려나기 한다. 잎가장자리는 전연이고, 엽병은 자주색이며, 엽신은 삼각형으로 길이는 4-13 cm이다. 표면과 이면은 무모이고, 잎밑은 심장저이다.

꽃은 화경이 없는 백색의 이삭꽃차례로서 6~7월에 암수딴그루로 핀다. 잎겨드랑이에 이삭꽃차례가 1~3개씩 달린다. 수꽃은 곧게서고, 암꽃은 밑으로 처진다. 화피는 6장이고, 수술은 6개이다. 암화서는 밑으로 처지고, 몇개의 암꽃이 달리며 화피열편으로 되어 있고, 짧은 암술대가 있으며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3개의 날개가 있으며, 둥근 날개가 달린 종자가 들어 있다 . 9~10월 에 익는다.

줄기

줄기는 자줏빛이고, 살눈이 잎겨드랑이에 존재한다.

뿌리

덩이뿌리는 원주상 곤봉형의 육질이며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해마다 새것과 묵은 것이 바뀌어져서 다육성이고 백색이며 점활(粘滑)하다.

생육환경

• 산지에 자생하기도 하며 포지(圃地)에 심기도 한다.
• 재배는 따뜻한 지방이 좋다. 토질은 비옥한 땅으로서 겉흙이 깊은 모래참흙이 가장 적당하다. 겉흙이 얕고 돌이 받치는 땅에서는 길고 굵은 덩이 뿌리를 생산할 수 없으므로 재배상 적당하지 못하다.

번식방법

• 마는 잎겨드랑이의 살눈으로 번식하거나 뿌리 윗부분의 묘두(苗頭)로 번식하므로 재배에 있어서도 이 두 가지를 이용한다. 또 뿌리의 작은 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1.살눈 번식법: 살눈이 7-8월에 생겨서 9월에 완숙되어 덩굴에서 떨어지는데 떨어지기 전에 채취하여 저장해 둔다. 묻을 때는 깨끗하고 건조한 모래와 섞어서 넣고 흙을 덮는다.
2.직파법: 살눈이 본밭에 직파하여 재배할 수 있는데, 겨울에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 등의 따뜻한 지방에서 시행한다. 파종 방법은 줄뿌림 또는 점뿌리한다. 씨를 뿌린 후 2-3년째 가을에 수확할 수 있다.
3.묘두 식부법: 마를 가을에 수확할 때 뿌리 윗부분의 묘두를 따서 심는다.

재배특성

마는 잎겨드랑이의 살눈으로 번식하거나 뿌리 윗부분의 묘두로 번식하므로 재배에 있어서도 이 두가지를 이용한다. 또 뿌리의 작은 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살눈번식법:
주아는 7~8월에 생겨서 9월에 완숙되어 덩굴에서 떨어지는데, 떨어지기 전에 채취하여 저장해 둔다. 저장방법은 1.5~1.8m정도의 깊이로 땅을 파고 묻되, 목향·현삼·천궁·지황등의 약초보다 추위에 약하므로 깊은 것이 좋다. 묻을 때는 깨끗하고 건조한 모래와 섞어서 넣고 흙을 덮는다.
1)모종기르기: 제주도 및 남해안 도시 지방에서는 살눈을 채취한 후 즉시 또는 가을에도 파종할 수 있으나,중부 지방에서는 가을에 파종하면 겨울에 동해를 입기 쉬우므로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파종한다.
2)아주심기: 본밭은 깊이 갈아서 120cm 나비의 두둑을 만들고 포기사이 15cm로 심되, 싹이 위로 향하도록 세워서 심는다. 심은 후에는 3~4cm 두께로 흙을 덮어 준다. 이후 생육중에는 땅의 건조를 막기 위하여 짚을 깔아 준다. 그러나 지나치게 습기가 많으면 뿌리가 썩으므로 배수에도 주의한다. 거름주기는 심은 해에 수확할 계획이면 많이 주고, 그렇지 않을때는 첫해에 적게 주다가 해가 거듭될수록 점점 많이 준다. 10a당 두엄 1,125kg, 과석 37.5kg, 재 37.5kg 정도로 밑거름으로 주고 덧거름으로 복합비료를 시용한다.
3)직파법: 마는 주아를 본밭에 직파하여 재배할 수 있는데, 겨울에 월동이 가능한, 제주도 등의 따뜻한 지방에서 시행한다. 파종시기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파종 방법은 줄뿌림 또는 점뿌림한다. 씨를 뿌린 후 2~3년째 가을에 수확할 수 있다.
• 묘두식부법: 주아를 심으면 당년에는 뿌리가 굵지 못하여 수확하기 어려우므로 주아 대신 묘두를 따서 심는 방법이다. 즉 마를 가을에 수확할때 뿌리 윗부분의 묘두를 따서 심는다. 심을때는 이랑나비 30cm, 포기사이 15~18cm로 한다. 10a당 소요량은 112.5kg이다. 주아를 심는 것보다 더 굵은덩이뿌리를 수확할 수 있으므로 월동이 곤란한 곳에서는 이 방법으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아주심는 방법 및 기타관리사항은 주아 번식법에 준한다.

용도

• 뿌리를 식용한다.
• 塊莖(덩이줄기)은 山藥(산약), 덩굴은 山藥藤(산약등), 살눈은 零餘子(영여자), 과실은 風車兒(풍차아)라 하며 약용한다.
⑴山藥(산약)
①11-12월(상강-동지 사이)에 채취한다.
②성분 : 덩이줄기에는 saponin, 점액, cholin, 전분(16%), glycoproten과 유리 아미노산이 함유되었고 또 abscisinⅡ, polyphenol 산화효소, vitamin C(5mg%), 3,4-dihydroxyphenylethylamine(dopamine)을 함유하고 점액 중에는 mannan과 phytin酸(산)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滋養(자양), 强壯(강장), 强精(강정), 止瀉藥(지사약)으로서 健脾(건비), 補肺(보폐), 補腎(보신), 益精(익정)의 효능이 있다. 脾虛(비허)에서 오는 설사, 久痢(구리), 식욕부진, 虛勞(허로-신체허약)에서 오는 咳嗽(해수), 消渴(소갈), 遺精(유정), 帶下(대하), 小便頻數(소변빈수-頻尿(빈뇨))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8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쓴다. <외용> 생것은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⑵山藥藤(산약등)
①9-10월에 뿌리와 함깨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피부습진, 丹毒(단독)을 치료한다
③외용 :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하거나 짓찧어서 환부에 바른다.
⑶零餘子(영여자)
①약효 : 補虛(보허)하고, 허리와 다리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햇볕에 말린 산약의 효능보다 더 강하다.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⑷風車兒(풍차아)
①8-10월에 채취한다.
②약효 : 耳鳴(이명)을 치료한다. 9-21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보호방법

거름주기나 흙덮기가 끝나면 除草劑(제초제)인 씨마진수화제 100~150g을 물 60~80ℓ에 희석해서 살포하고, 물기가 가신후에 짚으로 살짝 덮어서 乾燥防止(건조방지)와 病原菌(병원균)이 있는 흙이 튀어서 줄기나 잎에 묻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이 좋다. 支柱(지주)는 6월 하순에 120~150cm 높이로 세워주고 중간에 3~4단의 옆줄을 쳐서 줄기를 유인하도록 한다.

유사종

• 단풍마 : 단풍마는 잎이 단풍처럼 갈라져 있다. 뿌리를 마와 같이 식용으로 한다. 또 봄철에 돋는 어린 싹은 나물로 하면 맛이 좋다.
• 둥근마 : 덩이뿌리는 크고 둥근 모양이며 바깥껍질은 검은색이다.
• 참마 : 잎은 긴 타원상 좁은 삼각형, 심장형, 털이 없다.
• 국화마 :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은 흑갈색,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며 국화 잎과 비슷하다.
• 각시마 : 잎은 도꼬로마와 닮았으나, 긴 심장형이다.
• 도꼬로마 : 잎은 콩팥모양, 씨의 한쪽에만 넓은 날개가 있다.

방제방법

①뿌리혹-녹충(綠蟲)-카보입제로 10a당 12kg을 출아기(出芽期)와 경엽신장기(莖葉伸長期)에 각각 6kg씩 2회로 덩이뿌리 비대부위(肥大部位)에 살포하는 것이 수량에서 35% 증수이며, 따라서 소득(所得)도 157% 증가하므로 가장 유효하였다.
②엽상병, 탄저병, 잎마름병- 이어짓기를 피하고, 가을에 밭을 청소하고 갈아야 하며, 발병초기부터 2~3번 4두식 석회보르도액 또는 다이센M-45수화제에 전착제를 첨가하여 뿌려준다.
③청미병, 무름병-캔 덩이뿌리는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 둔다
④마잎벌레- 6월중순~8월상순에 10일 간격으로 밧사유제 또는 오후나크엠분제를 뿌려주면 방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미리 약해여부를 검토해야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립수목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생물종 지식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TOP으로 이동


[Daum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