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추사가언간

다른 표기 언어 秋史家諺簡 동의어 추사가의 한글편지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후기
저작자 혜경궁홍씨, 해평윤씨, 김노경, 기계유씨, 김상희, 김관제
창작/발표시기 18세기 중반~19세기 중반
성격 서간, 한글편지
유형 문헌
권수/책수 45건
분야 언어/언어·문자
소장/전승 국립중앙박물관(42건), 개인(3건)

요약 조선후기 문신·서화가 김정희를 중심으로 상하 5대에 걸쳐 작성된 서간. 한글편지.

개설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가문에서 주고받은 현존(現存) 한글 편지 94건 중에서 추사가 쓴 40건을 제외한 45건의 한글 편지이다. 추사의 조모 해평 윤씨(海平尹氏, 1729~1796) 13건, 추사의 외조모 한산 이씨(韓山李氏, ?~1807) 2건, 추사의 생모 기계 유씨(杞溪兪氏, 1767~1801) 3건, 추사의 생부 김노경(金魯敬, 1766~1837) 23건, 추사의 막냇동생 김상희(金相喜) 2건, 추사의 서종손(庶從孫) 김관제(金寬濟, 1870~1912) 1건 등이 있다.

가장 이른 것은 1754~1757년 사이에 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1735~1815, 올케)가 추사의 증조모인 화순옹주(시누이)에게 보낸 편지이며, 가장 늦은 것은 김관제가 1897년에 쓴 편지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작성 시기는 18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중반에 건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지적 사항

45건이 한꺼번에 알려진 것은 아니다. 처음에는 해평 윤씨 6건, 기계 유씨 3건, 김노경 11건, 김상희 2건, 추사의 서종손 김관제 1건 등 총 23건이 먼저 소개되었으며, 이후 혜경궁 홍씨 1건이 추가로 알려졌다.

그 후에 2006년 12월 27일부터 2007년 2월 25일까지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추사 김정희 서거 150주기 특별전’을 열면서 김노경 12건, 해평 윤씨 7건, 한산 이씨 2건이 추가로 전시되어 현재의 총 45건이 형성된다.

내용

편지의 발신자는 혜경궁 홍씨, 해평 윤씨, 김노경, 기계 유씨, 김상희, 한산 이씨, 김관제 등이며 시누이·남편·아내·누이·형수·아들·며느리 등 다양한 가족 구성원을 수신자로 하여 쓰인 것이다. 그리하여 일반적인 문안 인사부터 질병에 대한 치료와 걱정, 벼슬살이에서 번(番, 숙직)에 대한 괴로움, 자식에 대한 염려가 끊일 사이 없는 모정 등이 적혀 있어 당시 사대부가의 일상생활에 대한 모습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다양한 세대의 가족 구성원 사이에 수수(授受)되어 밀접도가 높은 국어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지며, 편지의 사연 속에 담긴 내용은 문학사·생활사·여성사·문화사 등의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황문환 외, 역락, 2013)
  • ・ 『추사한글편지전 세미나 논문집』(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 2004)
  • ・ 「추사가 한글편지의 국어학 고찰」(이병기, 『국어학』66, 2013)
  • ・ 「추사가의 한글 편지들(하)」(김일근, 『문학사상』115, 1982)
  • ・ 「추사가의 한글 편지들(상)」(김일근, 『문학사상』114, 198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추사가언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