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생물 |
---|---|
분야 | 과학/식물 |
요약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외연도리에 있는 상록수림.
내용
196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 32,727㎡. 상록수림은 마을 뒷면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앙에 서낭당이 있다. 이 상록수림 외곽의 식생은 크게 황폐되어 있으나 이 숲은 원상에 가깝게 보존되고 있는 것은 서낭당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숲을 구성하고 있는 상록활엽수종에는 후박나무·동백나무·식나무·보리밥나무·먼나무·무룬나무·돈나무·자금우·붉가시나무·개산초나무·마삭나무·황칠나무 등이 있으며, 담쟁이덩굴·국화으아리·방기·사위질빵·계요등·칡·왕머루·청미래덩굴·노박덩굴·댕댕이덩굴·새머루 등의 상록만경식물이 엉켜 자라고 있다.
또, 낙엽활엽수로서 팽나무·찰피나무·딱총나무·푸조나무·자귀나무·산초나무·누리장나무·고로쇠나무·꾸지뽕나무·산뽕나무·닥나무·꾸지나무·찔레꽃·참빗살나무·두릅나무·붉나무·초피나무·상수리나무·예덕나무·민머귀나무·까마귀밥나무·회나무·실거리나무·자작나무·때죽나무·광대싸리·병아리꽃나무·화살나무·새비나무·쥐똥나무 등도 있다.
이 중 큰 나무로서는 팽나무가 높이 20m, 가슴높이의 줄기지름 1.4m로서 가장 크며, 지름이 1m 이상 되는 나무는 여럿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보령 외연도 상록수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